공모가 52달러… 주식 수요 높아 예상 최고가로 책정돼
이탈리아 명품차 제조업체 페라리가 21일(현지시간) 뉴욕 증권시장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페라리의 공모주 가격은 예상치의 최고가인 52달러로 책정돼 페라리의 시가총액은 98억 달러(약 11조원)를 기록했다. 부채에 시달리던 모기업 피아트크라이슬러는 페라리의 기업공개(IPO)로 8억 9300만 달러의 자금을 확보할 전망이다.페라리는 지난 20일 페라리의 공모주 가격을 52달러로 책정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지난 9일 페라리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공모주 가격을 48~52달러 사이에서 책정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페라리가 예상치의 최고가로 공모주 가격을 정한 것은 페라리 주식에 대한 수요가 높았음을 의미한다.
페라리의 기업공개를 추진한 모기업 피아트크라이슬러는 페라리 전체 주식의 10%에 해당하는 1720만주를 증시에 내놨다. 페라리 전체 주식의 90%를 보유한 피아트크라이슬러는 나머지 80%도 내년초 매각할 계획이다.
페라리는 모기업 피아트크라이슬러의 ‘효자’ 기업이었다. 페라리는 지난해 31억 3000만 달러의 매출과 2억 6500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이는 2010년에 비해 매출은 50%, 영업이익은 32% 오른 수치다. 그럼에도 피아트크라이슬러가 페라리의 주식을 매각하려는 이유는 높은 108억 달러에 달하는 부채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또한 2011년 크라이슬러를 인수한 피아트의 최고경영자(CEO) 세르지오 마르치오네는 “공격적인 확장만이 세계 자동차시장에서 생존하는 길”이라면서 제너럴모터스(GM) 등 또 다른 거대 자동차 제조업체를 인수하고 마세라티 등 자사 브랜드의 생산을 늘리려 한다. 이를 위한 ‘총알’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페라리를 매각하려 한다는 것이 AFP 등 외신들의 분석이다.
페라리의 기업공개는 기관투자자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명품 브랜드의 주식을 사고자 하는” 개인투자자의 관심도 끌었다. 미국 디트로이트의 개인투자자인 마틴 반 아메로겐은 페라리 주식 2500주를 살 예정이라면서 “경기가 어떻든 명품을 사려는 사람들은 항상 존재한다”고 말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