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범위 넓어졌다…명왕성 3배 거리 왜행성 발견

태양계 범위 넓어졌다…명왕성 3배 거리 왜행성 발견

입력 2015-11-12 08:22
수정 2015-11-12 08: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왕성의 약 3배 거리에서 새 왜행성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관측된 태양계 내 물체 중 거리가 가장 멀다. 그만큼 ‘태양계’의 범위가 넓어진 셈이다.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카네기과학연구소(Carnegie Institution for Science)소속 스콧 셰퍼드 교수 연구팀은 태양으로부터 약 103 au(천문단위·astronomical unit) 거리에서 왜행성 ‘V774104’을 발견했다. 이 거리를 km로 환산하면 154억 km다.

천문단위(au)는 지구와 태양의 평균 거리에 해당하며, 약 1억5천만 km다. 명왕성과 태양의 거리는 가장 가까울 때 29.7 au, 가장 멀 때 49.3 au다.

셰퍼드 교수는 10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 주 내셔널 하버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AAS) 행성과학 분과 회의에서 V774104의 발견을 공표했다.

그는 “우리는 이 물체의 궤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다”며 “지금까지 알려진 (태양계 내에서) 가장 먼 물체라는 것만 안다”고 말했다.

이 물체는 올해 10월 하와이의 수바루 망원경과 칠레의 암흑 에너지 관측 카메라로 관측됐으며, 몇 시간 동안 하늘에서 관측된 움직임과 지구 위치 변화를 바탕으로 거리가 계산됐다.

밝기로부터 계산해 보면 이 물체는 지름이 500∼1천 km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명왕성 크기의 절반 미만이다.

이 물체가 발견되기 전까지 태양계에서 관측된 가장 먼 물체는 2003년 89.6 au 거리에서 발견된 ‘90377 세드나’와 2012년 약 83 au 거리에서 발견된 ‘2012 VP 113’였다.

세드나는 태양에서 76∼936 au, 2012 VP 113은 태양에서 80∼446 au 거리의 타원 궤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천문학자들은 수바루 망원경과 암흑 에너지 관측 카메라로 V774104 외에도 태양에서 80∼90 au 거리에서 10여개의 다른 물체를 발견했다.

이 물체들의 궤도를 밝히는 데는 약 1년 혹은 그 이상의 추가 관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