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남녀 임금격차 OECD 회원국 중 최고…37% 차이

한국 남녀 임금격차 OECD 회원국 중 최고…37% 차이

입력 2016-03-09 03:29
수정 2016-03-09 0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정규직 남성 100만원 벌 때 여성 63만원 그쳐

선진국 클럽으로 불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의 남녀 임금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세계 여성의 날인 8일 페이스북 공식 페이지에 2014년 기준 회원국별 남녀 임금 격차 그래픽을 게시했다.

한국은 OECD 회원국 등 총 36개국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남녀 임금 격차가 36.7%로 1위를 차지했다.

이 격차는 정규직이나 자영업에 종사하는 남성 임금에 대한 여성의 상대적인 임금을 나타낸다고 OECD는 설명했다.

한국은 남성 임금이 100만 원일 때 여성은 36.7% 적은 63만3천 원을 받는다는 의미다.

OECD 평균은 15.6%였다.

일본과 에스토니아가 26.6%로 공동 2위였으나 한국보다 10.1% 포인트 남녀 임금 격차가 작았다.

미국 17.5%, 영국 17.4%, 프랑스는 13.7%를 기록했다.

남녀 임금 격차가 가장 작은 국가 1위는 헝가리로 3.8%였으며 뉴질랜드(5.6%), 벨기에(5.9%) 순으로 나타났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OECD 내 29개국을 대상으로 성별 고등교육 격차, 임금 격차, 고위직 중 여성 비율, 육아 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 10개 지표를 종합한 ‘유리 천장’ 지수를 산출해 최근 공개한 결과에서도 한국은 유리 천장 지수가 25.0점으로 29개국 중 최하위를 차지했다. OECD 평균은 56.0점이었다.

유리천장은 여성이나 소수민족 출신자들의 고위직 진출을 막는 조직 내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또 2014년 기준 한국에서 전체 직원 대비 임원 비율을 성별로 보면 남성은 2.4%였지만 여성은 6분의 1에 불과한 0.4%로 자료가 있는 OECD 회원국 30개 가운데 꼴찌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