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廣島)를 방문한 27일 “히로시마(원폭피해)는 주목받을 가치가 있다. (그러나) 난징(南京)(대학살)을 잊으면 더욱 안된다”라고 말했다.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왕 부장은 이날 광시좡족(廣西壯族)자치구 글로벌 홍보행사에 참석해 한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이번 히로시마행에 관한 질문을 받자 이같이 대답했다. 난징대학살은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7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뒤 20여만명 이상을 학살한 사건이다.
왕 부장은 또 “피해자는 동정을 받아야 하지만, 가해자는 영원히 자신의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전날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서도 “우리는 모두 일본 군국주의가 일으킨 전쟁이 아시아 인민들에게 엄청난 재난을 가져왔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오늘날 (일본은) 전쟁의 책임을 심각하게 반성해야 하고, 역사적 교훈을 깊이 흡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왕 부장은 이날 광시좡족(廣西壯族)자치구 글로벌 홍보행사에 참석해 한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이번 히로시마행에 관한 질문을 받자 이같이 대답했다. 난징대학살은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7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뒤 20여만명 이상을 학살한 사건이다.
왕 부장은 또 “피해자는 동정을 받아야 하지만, 가해자는 영원히 자신의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전날 외교부 대변인을 통해서도 “우리는 모두 일본 군국주의가 일으킨 전쟁이 아시아 인민들에게 엄청난 재난을 가져왔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며 “오늘날 (일본은) 전쟁의 책임을 심각하게 반성해야 하고, 역사적 교훈을 깊이 흡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