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드론을 이용한 첫 음식 배달이 이뤄졌다. 배달품목은 편의점 체인 세븐일레븐의 치킨 샌드위치와 도넛, 커피, 캔디였다.
22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천 등에 따르면 드론 스타트업 회사 플러티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네바다 주 리노에서 뜨겁고 차가운 음식 포장을 위해 만든 특별 상자에 이 제품들을 담아 1.6㎞ 떨어진 한 가정집에 배달했다.
미국 내에서 당국의 허가를 받은 첫 번째 상용 드론 배달이다.
네바다 주 정부의 지원을 받아 자율주행 시스템을 감독하는 비영리 단체인 네바다자율시스템협회(NIAS)는 “이번 배달에 특별한 계획이 필요했다”며 “위험을 분석하고 거주자의 안전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비행 절차를 구체화했다”고 밝혔다.
맷 스위티 플러티 최고경영자(CEO)는 “세븐일레븐과 협업의 첫 단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플러티는 상점에서 가정으로의 드론 배달을 위해 디딤돌을 놓아 왔고, 오늘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편의를 배달하는 머지않은 미래를 향한 대약진의 날”이라고 자축했다.
플러티는 전 세계 재난 현장 등에서 인도주의적 목적의 구호 물품을 드론으로 배달하는 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앞으로는 세븐일레븐과의 협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세븐일레븐의 마케팅 책임자인 지저스 델가도-젱킨스는 “드론 배달은 고객에게 최대의 편의”라며 “이런 노력은 편의를 재정의하는 데 많은 기회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번 배달은 소매업체가 드론을 이용해 상점에서 가정으로 즉시 소모품을 배달한 첫 번째 사례”라며 “곧 매장의 모든 상품을 몇 분 안에 고객에게 배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마존 등 미국의 온라인 상거래업체들은 드론 배달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지난달 상업용 드론 운행 규정을 확정했으며 8월 말 발효할 예정이다.
규정에 따르면 조종사들이 드론을 직접 볼 수 있도록 시야선을 확보해야 하므로 아마존이나 구글 등이 추진하는 원거리 배달 서바스는 당장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22일(현지시간) AFP 통신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천 등에 따르면 드론 스타트업 회사 플러티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네바다 주 리노에서 뜨겁고 차가운 음식 포장을 위해 만든 특별 상자에 이 제품들을 담아 1.6㎞ 떨어진 한 가정집에 배달했다.
미국 내에서 당국의 허가를 받은 첫 번째 상용 드론 배달이다.
네바다 주 정부의 지원을 받아 자율주행 시스템을 감독하는 비영리 단체인 네바다자율시스템협회(NIAS)는 “이번 배달에 특별한 계획이 필요했다”며 “위험을 분석하고 거주자의 안전과 사생활 보호를 위해 비행 절차를 구체화했다”고 밝혔다.
맷 스위티 플러티 최고경영자(CEO)는 “세븐일레븐과 협업의 첫 단계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플러티는 상점에서 가정으로의 드론 배달을 위해 디딤돌을 놓아 왔고, 오늘은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편의를 배달하는 머지않은 미래를 향한 대약진의 날”이라고 자축했다.
플러티는 전 세계 재난 현장 등에서 인도주의적 목적의 구호 물품을 드론으로 배달하는 작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앞으로는 세븐일레븐과의 협업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세븐일레븐의 마케팅 책임자인 지저스 델가도-젱킨스는 “드론 배달은 고객에게 최대의 편의”라며 “이런 노력은 편의를 재정의하는 데 많은 기회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번 배달은 소매업체가 드론을 이용해 상점에서 가정으로 즉시 소모품을 배달한 첫 번째 사례”라며 “곧 매장의 모든 상품을 몇 분 안에 고객에게 배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마존 등 미국의 온라인 상거래업체들은 드론 배달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지난달 상업용 드론 운행 규정을 확정했으며 8월 말 발효할 예정이다.
규정에 따르면 조종사들이 드론을 직접 볼 수 있도록 시야선을 확보해야 하므로 아마존이나 구글 등이 추진하는 원거리 배달 서바스는 당장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