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2015년에 전과자·정신질환자에 팔린 총 3천정

미국서 2015년에 전과자·정신질환자에 팔린 총 3천정

입력 2016-10-06 07:24
수정 2016-10-06 07: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년보다 고작 600정 감소…구매자 신원 조회 여전히 허술

미국에서 총기를 소유할 수 없는 전과자나 정신질환자에게 팔리는 화기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지난달 공개된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총기 구매자 신원 조회와 관련한 보고서를 인용해 5일(현지시간) 소개한 내용을 보면, 지난해에만 2천892정의 총기가 전과자·정신질환자·그 밖의 금지자들에게 팔렸다.

타임은 이러한 사실이 FBI의 산하 총기 구매자 신원 조회 시스템인 국립신속범죄신원조회시스템(NICS)의 기술적 결함에 따른 것이라고 평했다.

연방 정부와 각 주(州) 정부는 1998년 이래 NICS에서 총기 거래 구매자의 신원을 조사한다.

FBI로부터 거래 시점에서 사흘(72시간) 내로 신원 조회 답변이 돌아오면 총기 판매상은 구매자에게 총을 팔 수 있다. 이렇게 정해진 기일 내에 답변이 돌아온 경우는 전체 총기 거래의 90% 정도다.

나머지 10%는 FBI가 구매자의 추가 신원 조회를 위해 조사 기간을 연장한 경우다.

문제는 주 법이 금지하지 않는 이상 총기 판매상은 사흘 내에 FBI의 답변을 받지 못하더라도 구매자에게 총을 팔 수 있다는 데 있다.

주마다 신원 조회 방식과 법률이 달라서 자연스럽게 생긴 구멍이다. 신원 조회를 연방 정부에 맡기는 주가 있는가 하면, 자체적으로 조회하는 주도 있다.

이런 허점 탓에 법률이 총기 소유를 금하는 정신질환자나 전과자도 총을 비교적 쉽게 수중에 넣을 수 있다.

이렇게 생긴 총기 신원 조회 상의 허술한 구멍을 미국 언론은 ‘찰스턴 루폴’(Charleston Loophole) 또는 ‘지체된 거부’(Delayed Denial)라고 부른다.

지난해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의 유서 깊은 흑인 교회에서 총기를 난사해 성경 공부를 하던 흑인 9명을 살해한 백인 청년 딜런 루프의 사건에서 따온 명칭이다.

백인 우월주의에 사로잡힌 루프는 정신질환을 경험해 총을 아예 살 수 없는 처지였으나 신원 조회의 허점으로 총기를 확보해 범행에 사용했다.

FBI의 총기 구매자 신원 조회가 지연된 틈을 타 1998년 이래 5만8천779정의 총기가 루프와 같은 무자격자에게 넘어갔다.

무자격자의 손에 쥐어진 총은 2014년 3천490정에서 작년 2천892정으로 600정 가까이 줄었지만, 더 강력한 총기 규제를 바라는 이들의 시각엔 턱없이 모자란 수치다.

FBI가 ‘지체된 거부’를 거쳐 총기 구매자에게 총을 팔아선 안 된다고 최종적으로 판단하면 연방 주류·담배·화기 단속국(ATF)이 출동해 이미 이들에게 팔린 총을 회수한다. 하지만, ATF는 얼마나 많은 총기를 회수했는지에 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타임이 전했다.

미국 의회 회계감사원(GAO)은 2014년 ATF의 총기 추적 및 회수 실적을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8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에 참석해 수료자들과 정비사업 관련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이번 아카데미는 서대문구 주거정비과에서 기획했다. 서대문구는 오래된 주거지역이 많아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역이다.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을 비롯해 수십 곳의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아카데미는 조합원의 소중한 자산인 부동산을 깊이 이해하고, 직접 이해관계자로서 자기 자산을 지켜가며 재산 증식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아카데미는 이론과 실무 경험이 풍부한 우수 강사진을 구성하여 ▲정비계획 및 구역지정 절차 ▲조합 추진위의 구성과 운영 ▲조합 임원의 역할 및 소송 사례 ▲정비사업 감정평가의 이해 ▲조합원 분담규모와 관리처분계획 등 정비사업 전반에 걸친 전문적인 강의를 제공했다. 김 의원은 수강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시 조합원들의 종전자산 평가와 분담규모 추산액, 그리고 사업 추진 속도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김 의원은 과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대문구 재개발·재건축 정비사업 아카데미 수료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