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FBI 재수사 지렛대로 막판 뒤집기 총력전…힐러리 맹폭

트럼프, FBI 재수사 지렛대로 막판 뒤집기 총력전…힐러리 맹폭

입력 2016-10-31 07:25
수정 2016-10-31 07: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클린턴 본인이 문제의 사슬 만들어놓고 이제 와 희생자인 척”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 도널드 트럼프캠프가 미 연방수사국(FBI)의 힐러리 클린턴 ‘이메일 스캔들’ 재수사 착수를 고리 삼아 막판 뒤집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트럼프는 물론 그의 부통령 러닝메이트인 마이크 펜스, 켈리엔 콘웨이 캠프 선대본부장 등이 일제히 나서 이메일 스캔들을 전방위로 공격하면서 클린턴에 대한 ‘범죄자’ 이미지를 확산하는 데 주력하는 모양새다.

자신들의 지지층은 결집하고 클린턴 지지층에는 균열을 내겠다는 전략이다.

트럼프는 30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트위터, 구글, 페이스북이 FBI의 클린턴 재수사를 그냥 묻어버리고 있다. 아주 부정직한 미디어들”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사건이 ‘워터게이트 이상의 사건’인데도 미디어가 애써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취지의 언급이다.

트럼프는 그동안 “부정직한 언론이 ‘사기꾼’ 힐러리를 당선시키기 위해 선거를 조작하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부통령후보인 펜스는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FBI의 철저한 재수사를 촉구했다.

펜스는 “우리는 코미 국장이 미 의회에 보고한 대로 재수사를 꼭 하기를 바란다”면서 “만약 수사를 재개할 만한 충분한 관련 정보가 있다면 FBI는 당연히 그 사실을 먼저 의회에 통보한 다음 수사를 진행해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클린턴의 개인 서버(이메일 스캔들)에 대한 수사는 정말로 심각한 문제”라고 덧붙였다.

펜스는 이어 코미 국장의 지난 7월 클린턴 불기소 결정은 수백만 미국인들 입장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결정이었다고 꼬집었다.



콘웨이 선대본부장은 NBC 방송의 ‘투데이’ 프로그램 인터뷰에서 클린턴이 대선 직전 FBI의 재수사 방침 발표는 전례가 없는 것이라고 반발하는 데 대해 “진짜 전례가 없는 것은 클린턴이 처음부터 개인 이메일 서버를 가졌다는 점”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클린턴 스스로 이 사건의 사슬을 만들었다. 그녀는 본인이 만든 이 사슬에서 탈출할 수 없다”면서 “그런데도 클린턴이 이제 와 희생자인 척하면서 제임스 코미 FBI 국장을 전방위로 공격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지지자로 FBI 부국장을 지낸 제임스 칼스트롬은 이날 라디오 진행자 존 캣시마티디스와의 인터뷰에서 “클린턴 일가는 기본적으로 ‘범죄 가족’이다. 조직화된 범죄와 같다”면서 “클린턴재단이 바로 (범죄의) 소굴”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클린턴에 대해 “병적인 거짓말쟁이”라고도 일갈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