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즈카 美애틀랜타 총영사
언론서 녹취록 공개… 발언 확인소녀상 건립 전부터 위안부 비하
![시노즈카 다카시 조지아주 애틀랜타 주재 일본 총영사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9/SSI_20170629173125_O2.jpg)
연합뉴스
![시노즈카 다카시 조지아주 애틀랜타 주재 일본 총영사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6/29/SSI_20170629173125.jpg)
시노즈카 다카시 조지아주 애틀랜타 주재 일본 총영사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에 시노즈카 총영사와의 인터뷰를 보도한 지역 언론은 인터뷰 녹취록을 후속 기사에서 공개했다. 시노즈카 총영사는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기간에 대부분 한국에서 온 여성들을 성 노예로 삼았다는 증거는 없다. 20만 명의 사람이 노예로 동원됐다는 사실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일본 정부, 심지어 한국 정부 자료에서도 확인되지 않았다. 그것에 관한 어떤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알다시피 아시아 문화에서는, 그리고 어떤 나라에서는 소녀들이 가족을 돕기 위해 이런(매춘부) 직업을 하기로 선택한다는 것을 알지 않느냐”고 말했다.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부인하고, 돈을 벌기 위해 일한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 언론은 또 시노즈카 총영사가 존 언스트 브룩헤이븐 시장과 만나서도 ‘위안부는 매춘부’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언스트 시장은 “그 발언(시노즈카 총영사의 인터뷰 발언)은 일관성이 있다. 그를 개인적으로 처음 만났을 때인데, 그는 그 사람들(위안부)의 일부가 매춘부였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언스트 시장은 시의회가 지난달 브룩헤이븐 시립공원에 소녀상을 세우기로 의결하기 이전에도 시노즈카 총영사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브룩헤이븐 시립공원에서는 30일 오전 10시 미 남부에서는 최초로 소녀상이 제막한다.
김미경 기자 chaplin7@seoul.co.kr
2017-06-3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