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안보회의 개막일인 지난 1일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 싱가포르 경찰 소속 구르카 용병 2명이 경계근무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07/SSI_20180607135404_O2.jpg)
![아시아안보회의 개막일인 지난 1일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 싱가포르 경찰 소속 구르카 용병 2명이 경계근무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07/SSI_20180607135404.jpg)
아시아안보회의 개막일인 지난 1일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 싱가포르 경찰 소속 구르카 용병 2명이 경계근무를 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7일 로이터통신은 싱가포르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과 북한이 데리고 온 자체 경호 인력 말고도 싱가포르 경찰 소속 구르카 병력이 회담장 주변 경호와 도로·호텔 등의 통제를 맡을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싱가포르 경찰에는 구르카족 1800여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회의(일명 ‘샹그릴라 대화’)에서 경호 임무를 맡기도 했다.
구르카족이 세계적으로 알려진 계기는 18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영국은 1814~16년 영국·네팔 전쟁에서 활약한 구르카 부족 전사의 용맹성에 반해 구르카족으로 꾸려진 별도 부대를 만들었으며, 이들은 제1·2차 세계대전 등 수많은 전쟁터에서 큰 활약을 펼쳤다.
구르카족은 휘어진 단도 ‘쿠크리(khukri)’를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들은‘쿠크리’ 없이는 전쟁에 나서질 않는데, 쿠크리는 한쪽 날이 구부러져 있는 외날 검으로 칼집에 보관하지 않을 때는 꼭 피를 묻혀야 하는 관습이 있다. 이들이 단검 하나로 당시 최신무기로 무장해 네팔을 공격한 영국군을 전멸시켰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내려오고 있다.
![사진은 2015년 8월 15일(현지시간) 영국군 구르카 부대가 영국 런던 중심가인 화이트홀을 행진하는 모습.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07/SSI_20180607140233_O2.jpg)
![사진은 2015년 8월 15일(현지시간) 영국군 구르카 부대가 영국 런던 중심가인 화이트홀을 행진하는 모습.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06/07/SSI_20180607140233.jpg)
사진은 2015년 8월 15일(현지시간) 영국군 구르카 부대가 영국 런던 중심가인 화이트홀을 행진하는 모습. AP 연합뉴스
영국은 1947년엔 네팔 정부와 협정을 맺고 구르카 전사들을 영국군에 배속시켰다. 이 때문에 영국 식민지였던 싱가포르도 이들을 고용해 치안을 맡겼다. 싱가포르의 구르카족 용병들은 현재 벨기에제 공격용 소총인 FN스카 등으로 무장했지만, 단검 쿠크리도 반드시 몸에 지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싱가포르 외곽에 있는 별도의 캠프에서 집단생활을 하고 있으며 밤 10시 30분 취침, 자정 이후 통행금지라는 엄격한 규율을 유지하고 있다. 보통 18, 19세에 선발돼 싱가포르에서 45살까지 근무한 후 본국 네팔로 송환된다. 싱가포르 현지 여성과의 결혼은 허용되지 않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