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 도터 이방카, 이메일 스캔들로 좌초하나

퍼스트 도터 이방카, 이메일 스캔들로 좌초하나

한준규 기자
입력 2018-11-21 13:38
수정 2018-11-21 13: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주당, 의회 차원의 진상 조사에 나설 듯

이방카 트럼프
이방카 트럼프 서울신문포토라이브러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퍼스트 도터인 이방카 백악관 보좌관이 ‘이메일 스캔들’로 곤경에 빠졌다. 딸바보인 트럼프 대통령이 ‘힐러리와 다르다’고 항변했으나, 트럼프 진영 인사들까지 나서 이방카의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의회 차원의 조사에 나서겠다면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이방카의 공무상 개인 이메일 사용’ 문제가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이메일 스캔들’과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고 CNN 등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이방카의 이메일은 힐러리 클린턴처럼 기밀로 분류되지 않았다. 3만 3000건의 이메일을 삭제한 힐러리 클린턴처럼 삭제하지 않았다”면서 “이방카는 자신의 이메일을 숨기기 위해 어떤 짓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힐러리가 지하실에 보유했던 것과 같은 (사설 이메일) 서버도 없었다”면서 “당신들은 완전히 다른 것을, 가짜뉴스를 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이방카가 지난해 개인 이메일 계정으로 백악관 보좌관·정부 관료들과 수백통의 업무 이메일을 주고받았다는 사실이 전날 언론에 보도되면서 정치적 파장이 커지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백악관 의회 담당 수석보좌관을 지낸 마크 쇼트는 이날 CNN에 “아이러니할 뿐 아니라 위선적이고 좋지 않은 일”이라면서 “이방카가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상원 법사위원회 소속 리처드 블루먼솔 민주당 의원은 “이방카가 규정을 몰랐을 리가 없다”면서 정부 윤리기구나 의회 차원의 조사를 요구했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