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페이지 캡처
일본 이사업계 1위인 사카이이사센터 홍보영상.2019.2.8.
홈페이지 캡처
홈페이지 캡처
일본에서 이사는 매년 3~4월에 집중된다. 8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새학기(4월)를 앞두고 연중 가장 많이 이사가 이뤄지는 3월의 경우 사카이이사센터, 아트이사센터, 일본통운 등 ‘빅3’를 포함한 대형 6개사의 수주 물량은 약 33만건으로 평소의 2배에 이른다.
일본의 이사 난민은 지난해 더욱 심각해졌다. 이사 업계는 가뜩이나 심각한 사회 전반의 일손 부족 속에 무거운 짐을 나르는 ‘중노동’의 이미지가 더해지면서 사람 구하는 데 극심한 애를 먹고 있다. 인력 확보가 어려워지자 업계는 장시간 노동을 줄이거나 일감 수주를 억제하는 등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이로 인해 이사 난민은 더욱 급증하고 있다.
특히 대형 이사 업체는 전근하는 직원의 이사 물량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기업 단위 단체계약을 맺고 있는 경우가 많아 개인들은 한층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급이 달리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사 요금도 상승해 서민들은 더욱 애를 먹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8월부터 일본 최대 물류기업 야마토 홀딩스 자회사인 야마토홈컨비니언스의 영업정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여름 법인용 이사 요금 과다 청구가 발각되면서 중징계를 받았다. 야마토홈컨비니언스의 정상영업은 4월 이후부터 가능할 전망이지만, 그때까지는 심각한 이사 대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 4위인 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이 10%에 이르기 때문에 다른 기업들 입장에서 보면 매출 확대의 기회가 되지만, 이를 반기는 기업은 별로 없다. 한 대형 이사 업체 관계자는 “인력과 운송트럭 확보에 한계가 있어 야마토의 물량을 타사가 맡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아트이사센터의 경우 3~4월 수주를 5% 늘릴 계획이지만, 이사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그 이상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어느 때보다 상황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자 일본 국토교통성은 “3월부터 4월까지 이어지는 피크시즌을 피하고, 이사하는 날짜를 분산시켜 달라”고 소비자와 이사 업계에 대해 협조를 요청하고 나섰다. 이렇게 정부가 호소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