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회의 두 번이나 진행했지만 ‘주저’
세계 환자 10만명·사망자 3000명 넘자발병 보고 한 달 반만에 비상사태 선언
CNN은 9일 자체적으로 ‘팬데믹’ 보도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EPA 연합뉴스
EPA 연합뉴스
WHO는 지난해 말 코로나19가 중국에서 발원해 급속도로 확산되는 가운데서도 긴급위원회 회의를 두 번이나 진행했지만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난 뒤에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을 했다. 중국에 전문 조사팀을 파견한 것은 그로부터 열흘이나 지난 뒤였다. 첫 발병 보고 시점 기준 한 달 반이 지난 때였다.
코로나19가 팬데믹에 들어섰다는 지적은 일찍부터 수차례 제기됐다. 지난달 말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국립면역호흡기질환센터 낸시 메소니에 국장은 “코로나19가 질병과 사망을 유발하고 사람 간 전파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우려스럽다”며 “이들 요소는 팬데믹의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한다”고 말했다.
옌스 슈판 독일 보건부 장관은 지난 4일 연방 하원에서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팬데믹이 됐다”면서 “분명한 것은 아직 정점에 이르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WHO의 선언을 기다리다 못한 CNN은 지난 9일 “전 세계 환자가 10만명을 넘기고 30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다”며 자체적으로 팬데믹이라고 보도하겠다고 밝혔다. 이런데도 WHO는 지난 5일까지도 거브러여수스 총장이 “우리는 아직 거기(팬데믹 상황)에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사이 코로나19 확진환자는 세계 110여개국에 걸쳐 12만명에 육박하고 사망자도 4300여명에 이르렀다.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은 “팬데믹 선포엔 수학 공식 같은 절차나 알고리즘이 없다”면서 “다만 단어에 내포된 의미와 각국에 미칠 파급력이 막대하고 오용의 여지가 있어 고심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WHO는 코로나19가 중국에서 진정세가 확연해지고 미국과 유럽으로 확산의 중심이 옮겨 간 뒤에야 늑장 팬데믹 선언을 했다는 의심을 피하기 어렵다.
중국의 적극 지원으로 사무총장에 오른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그간 틈만 나면 중국의 대처를 지나치게 칭찬하는 등 구설을 자초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20-03-13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