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베트남 ‘방역 모범국’, 접종엔 신중
일본 등 자체 백신 개발도 늦어

화이자 백신-로이터 연합뉴스
화이자 백신은 영국을 시작으로 미국,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등과 몇몇 중동아시아 국가들이 긴급 사용 승인을 받아 실제 접종 단계에 돌입한 상태이지만, 이들 긴급 사용 국가 명단에 한국 등 주요 아시아 국가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한국은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1분기 접종은 어렵다”는 정세균 총리의 직접 발언이 나왔고, 올림픽을 앞두고 마음이 급한 일본은 화이자 백신에 대해 내년 2월 중에 의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접종이 시작될 전망이다. 가장 성공적인 방역 국가로 꼽히는 대만도 글로벌 백신 공급 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내년초 백신을 공급받을 계획이다.
이같은 모습에 대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보도에서 한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이 신중한 접근을 하는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FT는 “아시아 국가들의 백신에 대한 신중한 접근은 당국의 빠른 접종 승인을 자랑하듯 내세우고 있는 미·유럽의 뜨거운 열기와 대조를 이룬다”며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과 유럽의 접종에서 나타날 안전성과 효과를 살펴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서구 국가들에서 본격적인 집단면역이 시작되고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는 사이 접종 후순위에 밀린 국가들의 고통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미 경제가 만신창이가 된 상태에서 안전한 백신을 기다리며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아시아 국가들은 접종 경쟁뿐만 아니라 백신 개발에서도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재팬타임스는 “일본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주요 경쟁국들과 비교해 크게 뒤처지고 있다”며 “앞서 영국이 코로나19 접종을 처음 시작한 날 일본은 백신 개발 기업들이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후기 입상 시험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본은 정부가 1990년대 홍역 등 백신 개발에 앞장섰다가 백신 부작용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잇따라 패소한 뒤 백신 개발에 소극적으로 바뀌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베트남도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3상 시험에 최근 들어간 상태다. 해당 제약사는 임상시험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빠르면 내년 5월 출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FT는 “당초 중국이 개발하는 백신은 초기 임상시험에서는 앞서나가다가 마지막 시험 단계에서 밀리게 됐다”면서 “중국이 개발한 백신의 조기 접종을 약속했던 국가들에서 규제 승인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