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인 관광 가이드 ‘의문의 죽음’… 미중 인권 갈등 촉진제 되나

티베트인 관광 가이드 ‘의문의 죽음’… 미중 인권 갈등 촉진제 되나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1-02-17 20:20
수정 2021-02-18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년 전 민족성 말살 항의하다 구금
美인권단체 “고문·학대로 숨진 것”
바이든 “中 인권유린 대가 있을 것”

이미지 확대
쿤초크 진파
쿤초크 진파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티베트 설 축제 ‘로사’를 축하하는 영상 메시지에서 “히말라야 지역의 언어적, 종교적, 문화적 유산을 지키겠다”며 티베트 문제를 언급한 가운데 한 티베트인의 쓸쓸한 죽음이 중국 정부의 오랜 인권 탄압 논란에 불을 지폈다.

미 인권단체 ‘휴먼 라이츠 워치’는 16일(현지시간) “7년 전 티베트에서 환경 파괴와 민족성 말살에 항의해 수감된 쿤초크 진파(51)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해명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시짱자치구(티베트) 라싸 근처 교도소에서 급하게 병원으로 옮겨진 뒤 이달 6일 뇌출혈로 사망했다. 가족들은 사망 일주일 전에야 “목숨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중국 당국은 그가 왜 입원하게 됐는지 설명하지 않고 있다.

쿤초크 진파는 1991년 인도로 건너가 티베트 망명 공동체가 운영하는 승려 학교에서 지냈다. 덕분에 영어와 힌두어를 배울 수 있었다. 1998년 고향으로 돌아가 관광 가이드로 일하며 인권 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2013년 5월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는 나카 드잠바 개발에 반대해 체포된 이들의 명단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공안의 표적이 됐다. 같은 해 10월 “모든 집에서 중국 국기를 게양하라”는 당국의 요구를 거부하는 시위에 참가했다가 체포된 뒤 국가 기밀을 외부로 유출한 혐의로 21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해 왔다. 체포 6개월 전 “(중국 정부가) 날 가둬도 두렵지 않다. 후회는 없다. 내가 더이상 여기에 글을 쓰지 않으면 잡혀 간 것”이라고 위챗에 글을 남기기도 했다.

휴먼 라이츠 워치의 중국 담당 소피 리처드슨 국장은 “부당하게 투옥된 티베트인이 고문과 학대로 숨진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티베트 인권 문제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중국을 압박하는 소재다. 바이든 대통령 부부가 중국인에게 춘제(설) 축하 메시지를 전한 지난 12일 블링컨 장관은 유튜브 등을 통해 티베트인들에게 설 인사를 건넸다. 바이든 대통령도 16일 CNN방송이 주최한 타운홀 미팅에서 ‘중국 인권유린에 대한 대가가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에 대가가 있을 것이다. 그(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그걸 안다”고 답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02-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