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전 민족성 말살 항의하다 구금
美인권단체 “고문·학대로 숨진 것”
바이든 “中 인권유린 대가 있을 것”
![쿤초크 진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17/SSI_20210217172543_O2.jpg)
![쿤초크 진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17/SSI_20210217172543.jpg)
쿤초크 진파
미 인권단체 ‘휴먼 라이츠 워치’는 16일(현지시간) “7년 전 티베트에서 환경 파괴와 민족성 말살에 항의해 수감된 쿤초크 진파(51)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해명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시짱자치구(티베트) 라싸 근처 교도소에서 급하게 병원으로 옮겨진 뒤 이달 6일 뇌출혈로 사망했다. 가족들은 사망 일주일 전에야 “목숨이 위험하다”는 사실을 통보받았다. 중국 당국은 그가 왜 입원하게 됐는지 설명하지 않고 있다.
쿤초크 진파는 1991년 인도로 건너가 티베트 망명 공동체가 운영하는 승려 학교에서 지냈다. 덕분에 영어와 힌두어를 배울 수 있었다. 1998년 고향으로 돌아가 관광 가이드로 일하며 인권 운동에 앞장섰다.
그는 2013년 5월 ‘신성한 산’으로 여겨지는 나카 드잠바 개발에 반대해 체포된 이들의 명단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공안의 표적이 됐다. 같은 해 10월 “모든 집에서 중국 국기를 게양하라”는 당국의 요구를 거부하는 시위에 참가했다가 체포된 뒤 국가 기밀을 외부로 유출한 혐의로 21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해 왔다. 체포 6개월 전 “(중국 정부가) 날 가둬도 두렵지 않다. 후회는 없다. 내가 더이상 여기에 글을 쓰지 않으면 잡혀 간 것”이라고 위챗에 글을 남기기도 했다.
휴먼 라이츠 워치의 중국 담당 소피 리처드슨 국장은 “부당하게 투옥된 티베트인이 고문과 학대로 숨진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티베트 인권 문제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중국을 압박하는 소재다. 바이든 대통령 부부가 중국인에게 춘제(설) 축하 메시지를 전한 지난 12일 블링컨 장관은 유튜브 등을 통해 티베트인들에게 설 인사를 건넸다. 바이든 대통령도 16일 CNN방송이 주최한 타운홀 미팅에서 ‘중국 인권유린에 대한 대가가 있느냐’는 질문에 “중국에 대가가 있을 것이다. 그(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그걸 안다”고 답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superryu@seoul.co.kr
2021-02-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