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5/SSI_20210415070759_O2.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15/SSI_20210415070759.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또한 중국과 일본, 독일, 이탈리아,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도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하고 아일랜드와 멕시코를 관찰대상국에 새롭게 포함했다.
미국은 2015년 무역촉진법에 따라 지난 1년간 200억 달러 초과의 현저한 대미 무역 흑자, 국내총생산(GDP)의 2%를 초과하는 상당한 경상수지 흑자, 12개월간 GDP의 2%를 초과하는 외환을 순매수하는 지속적·일방적인 외환시장 개입 등 3개 항목을 기준으로 각국의 환율 정책을 평가한다.
이 세 기준 중 2가지를 충족하면 관찰대상국, 3가지 모두에 해당하면 환율조작국에 준하는 것으로 알려진 심층분석대상국으로 지정한다.
한국은 이번에도 대미무역 흑자와 경상수지 흑자 등 2개 부문에서 관찰대상국 기준에 해당했다.
재무부는 3가지 모두를 충족하는 심층분석대상국에 기존 베트남, 스위스에 이어 대만을 추가했다. 대만은 관찰대상국에서 심층분석대상국으로 변경됐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