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합니다” 하와이 교민들 환호받은 文…일일이 주먹인사[현장]

“사랑합니다” 하와이 교민들 환호받은 文…일일이 주먹인사[현장]

최선을 기자
입력 2021-09-23 09:47
수정 2021-09-23 09: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하와이 교민과 인사하는 문 대통령
하와이 교민과 인사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대 한국학연구소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훈장 추서식에 참석한 뒤 교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1.9.23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참전용사 이름 만지는 문 대통령
참전용사 이름 만지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하와이 펀치볼 국립묘지 한국전 참전 무명용사의 벽에서 신원이 확인된 참전용사의 이름을 만지고 있다. 2021.9.23 연합뉴스
방미 마지막 일정으로 하와이 호놀룰루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현지 교민들의 환호와 지지를 받았다. 문 대통령은 하와이 이민세대로서 최근 독립운동 공적이 확인된 고 김노디 지사와 고 안정송 지사에게 훈장을 추서했다.

문 대통령 부부는 22일(현지시간) 하와이 공식 두 번째 일정으로 ‘독립유공자 훈장 추서식’에 참석하기 위해 하와이대 한국학 연구소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하와이 동포사회를 생각하면 늘 마음이 애틋하다. 하와이 이민 1세대는 고된 노동과 힘겨운 생활 속에서도 조국의 독립에 힘을 보탰다. 하루 1달러도 안 되는 품삯의 3분의 1을 떼어 300만 달러 이상의 독립자금을 모았다. 언제 들어도 가슴을 울리는 애국의 역사”라며 “정부는 해외 독립유공자의 공적을 발굴하고 후손을 한 분이라도 더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애국장 추서하는 문 대통령
애국장 추서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대 한국학 연구소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훈장 추서식에서 독립유공자 김노디 지사 후손에게 애국장을 수여한 뒤 박수치고 있다. 2021.9.23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헌화하는 문 대통령
헌화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 펀치볼 국립묘지에서 헌화하고 있다. 2021.9.23 연합뉴스
이날 문 대통령 부부를 가장 먼저 반긴 것은 행사장 건너편에서 문 대통령 부부를 기다린 수십여명의 교민들이었다. 이들 중에는 어린아이들도 있었으며, 태극기를 흔들며 문 대통령 부부를 응원했다. ‘문재인 대통령님, 여사님 사랑합니다’라고 적힌 피켓도 눈에 띄었다.

문 대통령 부부는 행사를 마친 뒤 교민들과 일일이 주먹인사를 나누며 환대에 직접 화답했다. 일부 교민은 “문재인, 문재인”, “사랑합니다, 건강하세요” 등을 외치며 지지를 보냈다.

앞서 하와이 도착 전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머물렀던 뉴욕에서도 문 대통령 부부는 현지 교민들의 환대를 받았다. 지난 19일 문 대통령 부부가 호텔 앞에 도착하자 건너편에서는 수십명의 교민들이 ‘평화로 가는 길 함께 걷겠습니다’,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등 플래카드와 푸른색 풍선을 흔들며 지지를 보냈다.
이미지 확대
하와이 교민과 인사하는 문 대통령
하와이 교민과 인사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대 한국학연구소에서 열린 독립유공자 훈장 추서식에 참석한 뒤 교민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1.9.23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문 대통령, 하와이 펀치볼 국립묘지 참배
문 대통령, 하와이 펀치볼 국립묘지 참배 문재인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각) 미국 하와이 펀치볼 국립묘지에서 참배하고 있다. 2021.9.23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