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현지 활동 한국인 일반의 인터뷰
“어린이·젊은층 환자 늘어…대부분 경증”
“고위험군엔 치명적일 수도” 전문가들 신중론
![오미크론 확산 속 접종받는 남아공 여성](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7/SSI_20211207113213_O2.jpg)
AP 연합뉴스
![오미크론 확산 속 접종받는 남아공 여성](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7/SSI_20211207113213.jpg)
오미크론 확산 속 접종받는 남아공 여성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 중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수도 요하네스버그의 병원에서 6일(현지시간) 한 여성이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2021.12.6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남아공의 비트바테르스란트 의대를 졸업하고 수도 요하네스버그에서 일반의로 활동 중인 안승지(40) 박사는 인터뷰에서 “남아공 병원에서 코로나19 감염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감염 초기 증상이 감기와 같아 가벼운 호흡기 질환이 될 것으로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감염자 대부분 증상 가벼워…감기처럼 처방”남아공은 지난달 24일 세계보건기구(WHO)에 오미크론 변이의 존재를 처음 보고했다. 현재 남아공에서 발생하는 코로나19 확진자의 70% 이상이 오미크론 감염자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 박사는 “최근 코로나19 감염자 대부분은 증상이 감기와 피로, 열, 인후염, 콧물 등으로 가벼운 편이고 무증상도 있지만 위중한 환자는 없어 재택치료를 위주로 한다”고 전했다.
남아공 현지에선 오미크론 변이 감염으로 보이는 환자는 일선 외래환자 치료 지침에 따라 감기처럼 약한 증세면 비타민을 처방하고, 증상이 발현된 지 6∼10일 기간에 호흡이 가빠지면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하고 있다고 한다.
또 “지난주 약 20명의 코로나19 감염자를 진료했다. 내원하는 코로나19 의심 증상자의 절반 정도가 확진자였다”면서 “다른 병원에서도 환자를 보는데 지난주부터 갑자기 코로나19 환자가 늘었다. 오미크론 변이 감염의 진원지인 하우텡은 환자 대부분이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 약을 처방하고 치료한다”고 설명했다.
하우텡 지역 일반의 의사 수백명은 현재 단체 소셜미디어방(GGPC)에서 진료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일반의로 일하는 안승지 박사. (본인 제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7/SSI_20211207113447_O2.jpg)
연합뉴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일반의로 일하는 안승지 박사. (본인 제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07/SSI_20211207113447.jpg)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일반의로 일하는 안승지 박사. (본인 제공)
연합뉴스
연합뉴스
현지의 동료 의사들도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한 뒤 이전보다 어린이 감염자가 많아졌고 20∼40대 등 젊은 층의 감염도 더 많아지는 추세라고 보고한다는 게 안 박사의 전언이다.
또 오미크론 변이 감염 추정 시점에서 증세가 발현될 때까지 잠복기가 델타 변이는 5일 정도였다면 지금은 3일 정도로 줄었다는 의견도 의료진 사이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또 남아공에서는 지난 며칠 새 하루 확진자가 최고 1만 6000명대로 급증했고, 양성률도 26.4%까지 치솟았으나 오미크론 변이로 사망한 환자는 아직 없다고 전했다.
“코로나 초기와 달리 산소치료 비율 크게 낮아”앞서 남아공 의학연구위원회가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남아공 가우텡주의 한 종합병원에서 지난 2일(현지시간) 코로나19 병동의 환자 42명 중 70%가 산소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위원회 관계자는 “이는 과거 유행 때 볼 수 없었던 모습”이라며 초기 유행이나 다른 변이 확산 때에는 병원에 오는 환자 대부분이 산소 치료를 받아야 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담긴 다른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달 14∼29일 이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 166명의 확진 후 평균 입원 기간은 2.5일로 직전 18개월간 평균치인 8.5일을 크게 밑돌았다.
“덜 치명적이라 단정 못해” 신중론 우세
![오미크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29/SSI_20211129192540_O2.jpg)
![오미크론](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29/SSI_20211129192540.jpg)
오미크론
또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에는 여전히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도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우리 방역당국 역시 신중론 쪽이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오미크론 변이의 위험도에 대해 “국내 오미크론 확진자들의 건강 상태가 현재 안정적이고 경미하지만 많은 환자를 분석한 것이 아니어서 오미크론의 중증화 정도를 일반화해 말하기는 어려운 단계”라면서 “해외에서 오미크론 감염자의 증상이 경증에 그친다는 뉴스가 많이 나오고 있지만 전 세계 감염병 전문가들이 일관되게 언급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확실성이 높고 얼마든지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