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부 “한국전 추모의벽 오류, 수정 노력” [인터뷰 그후]

美 국방부 “한국전 추모의벽 오류, 수정 노력” [인터뷰 그후]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3-01-11 15:38
수정 2023-01-11 15: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7월 제막 미 워싱턴DC 추모의벽
오기 1015개, 245명은 한국전쟁 무관 
미 “유감스런 실수, 유족들 연락해주길”
미국 워싱턴DC 한국전쟁참전용사기념공원에 지난해 7월 제막한 추모의벽에 새겨진 이름들. 서울신문DB
미국 워싱턴DC 한국전쟁참전용사기념공원에 지난해 7월 제막한 추모의벽에 새겨진 이름들. 서울신문DB
미국 역사학자 할 바커(75)가 워싱턴DC 내셔널몰의 한국전쟁참전용사기념공원 ‘추모의 벽’에 새겨진 한국전쟁 미군 전사자 명단에 오탈자가 많고 전사자 명단이 부정확하다고 지적한 서울신문 인터뷰<1월 11일자 2면 보도>와 관련해 미 국방부가 “유감스러운 실수”라는 입장을 밝혔다.

미 국방부 대변인은 미국의소리(VOA)방송의 질의에 “(추모의벽 전사자 오기) 실수들을 바로 잡기 위해 내무부와 협력하고 있다”며 “우리는 국방부의 한국전쟁 전사자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이름들이 추모의 벽에 있다는 것도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각 군은 한국전 전사자 명단에 있는 모든 이름을 공식적인 군사 기록과 대조해 정확성을 검토했다”면서도 “흔하지는 않으나 공식 기록 자체에 오류가 있어 (정확한) 검토가 어려웠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냉전의 희생자들로 분류했던 전사자들을 한국전 전사자로 재분류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도 어려웠다”고 했다.

이어 국방부 대변인은 “추모의 벽 명단에 이름이 누락됐거나 철자 오류 등을 발견한 가족이나 시민들은 국방부에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시민단체 ‘한국전쟁 프로젝트’(Korean War Project)를 운영하는 바커는 추모의 벽에 오자만 1015개였고, 한국전쟁과 무관한 이름이 245명이 포함된 반면 반드시 각인되어야 할 500여명의 전사자들이 누락됐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7월 완공된 추모의 벽에는 미국 국방부와 한국전참전용사추모재단(KWVMF)이 작성한 미군 전사자 3만 6634명과 한국군 카투사 전사자 7174명의 이름이 각인되어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