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 인구’ 감당 안 되는 인도…‘일자리가 부족하다’

‘14억 인구’ 감당 안 되는 인도…‘일자리가 부족하다’

김현이 기자
김현이 기자
입력 2023-01-23 08:00
수정 2023-01-23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생산가능인구 9억 명, 노동 참여율은 46%.’

중국을 제치고 ‘인구 대국’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인도는 폭발적인 인구를 바탕으로 6%대의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되는 나라다.

하지만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한 데다 낮은 교육 수준 등의 단점이 결합하면서 인도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지 확대
타지마할. 아그라 AFP 연합늅스
타지마할. 아그라 AFP 연합늅스
23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유엔(UN) 전문가들은 인도 인구가 지난해 14억12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UN은 인도가 향후 수개월 내에 중국(지난해 말 기준 인구 14억1750만 명)을 넘어서 세계 최고 인구 대국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저출산 경향으로 앞으로도 인도는 인구 대국 타이틀을 계속해서 거머쥘 전망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베이징 인구·공공정책 연구기관인 위와인구연구소는 중국의 신생아 수가 오는 2050년 인도의 3분의 1인 773만 명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젊은 나라’ 인도의 생산가능인구(15~64세에 해당하는 인구)는 2021년 기준 9억 명이 넘고, 향후 10년 동안 꾸준히 늘어 10억 명에 이를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예상했다.

일할 수 있는 인구는 많지만, 정작 일하지 않는 인도인이 더 많다. 세계은행(WB) 등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도 노동 참여율(성인 인구에 대한 노동 인구 비율)은 46%에 불과하다.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중국의 노동 참여율은 68%, 미국은 61%다.
이미지 확대
힌두교 성지 순례자들이 15일(현지시간) 마카르 산크란티 축제를 맞아 콜카다 후글리강에서 목욕 의식을 진행하면서 손을 들고 기도하고 있다. 콜카타 AP 연합뉴스
힌두교 성지 순례자들이 15일(현지시간) 마카르 산크란티 축제를 맞아 콜카다 후글리강에서 목욕 의식을 진행하면서 손을 들고 기도하고 있다. 콜카타 AP 연합뉴스
인도 노동시장 내 여성의 참여율은 심각할 정도로 저조하다. WB에 따르면 인도 여성 노동 참여율은 2006년 26%에서 2021년 19%로 떨어졌다.

미 CNN방송은 인도 독립 싱크탱크 인도경제모니터링센터(CMIE)를 인용해 지난해 12월 인도의 실업률이 8.3%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도시 실업률은 지난해 12월 기준 5.5%다.

게다가 인도 내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 인도 내 수천 명의 대학 졸업자들은 연봉이 300 달러(약 37만 원) 미만인 정부 기관의 ‘오피스 보이’같은 단순 노무직에 지원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비효율적인 노동시장 구조 탓에 인도의 6%대 성장률도 실제 잠재력에 비해 모자란 수치란 지적도 나온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인도의 국내총생산(GDP)이 6.1% 성장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미지 확대
첸나이 시민들이 17일(현지시간) 인도의 추수감사제인 ‘퐁갈’ 축제를 즐기기 위해 모여 있다. 첸나이 AFP 연합뉴스
첸나이 시민들이 17일(현지시간) 인도의 추수감사제인 ‘퐁갈’ 축제를 즐기기 위해 모여 있다. 첸나이 AFP 연합뉴스
라구람 라잔 전 인도중앙은행(RBI) 총재는 “이런 성장은 대부분 고용 없는 성장”이라면서 “일자리는 본질적으로 경제의 첫 번째 과제이며, (인도에) 괜찮은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경영 컨설팅 기업 맥킨지도 “인도의 GDP는 향후 10년 동안 매년 8.0~8.5% 증가해야 유익하고 생산적인 고용 성장을 이룰 수 있다”고 분석했다.

CNN은 인도가 경제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 비농업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해야 한다고 짚었다. 정부 집계에 따르면 인도 노동 인구의 45% 이상이 농업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 WB에 따르면 인도 GDP 중 공업의 비중은 14%에 불과하다.

마헤시 바야스 CMIE 최고경영자(CEO)는 “인도는 급속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노동력과 자본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이 드문 기회를 잡아야 하는데, 이미 버스를 놓친 것 같다”고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적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