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리 쿠타 해변. 123RF](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20/SSC_20230320134437_O2.jpg)
![발리 쿠타 해변. 123RF](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20/SSC_20230320134437.jpg)
발리 쿠타 해변. 123RF
최근 CNN 인도네시아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와얀 코스터 발리 주지사는 지난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법무부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인들에 대한 도착 비자 제도를 중단하고, 이들 국가 시민의 비자 요건을 강화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와얀 주지사는 인스타그램을 통해서도 “두 나라 국민은 전쟁 중이어서 그런지 일자리를 찾기 위해 발리로 몰려들고 있다”며 양국 국민이 비자 규칙을 위반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비자 정책을 위반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적 발급이 쉬운 도착비자를 받은 뒤 장기체류하는 사례가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에서는 18~60세 사이 모든 남성의 출국이 금지된 상태다. 러시아는 출국 금지령이 내려지지 않았지만, 지난해 예비군 30만명을 소집할 수 있는 부분 동원령으로 인해 해외 도피한 경우가 많다.
미국 CNN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인 약 5만 8000명, 지난 1월에는 2만 2500명이 추가로 발리를 방문했다. 이들 외에도 2022년 우크라이나인 약 7000명, 1월에는 2500명이 발리로 입국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현재 86개국 외국인을 대상으로 도착 비자를 발급하고 있다. 도착비자란 여행자가 공항·항만 등에 도착한 후 입국심사 직전에 발급받는 비자다. 도착비자 발급이 중단되면 여행객은 출국 전 각국 대사관에 방문해 비자를 직접 신청해야 한다.
이 비자로는 단순 방문이나 관광만 가능하며 사업이나 노동을 할 수 없다. 하지만 이달 들어서만 4명의 러시아인이 비자 규칙 위반으로 추방됐다.
러시아인 관련 사건 사고도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러시아인 인플루언서 부부가 발리 주민들이 신성하게 생각하는 700년 된 반얀트리 나무에 올라가 나체로 인증사진을 찍어 논란이 일었다. 지난 10일에는 도착 비자로 입국한 러시아 여성 3명이 발리에서 성매매하다가 발각돼 추방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와얀 주지사는 외국인 관광객이 발리에서 오토바이를 빌려 타면서 헬멧을 쓰지 않거나 운전면허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며 외국인에게 오토바이 대여를 금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인과 같은 조치를 적용받는다는 사실에 부당하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번 요청에 인도네시아 법무부는 아직 공식 입장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