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나 먼 ‘탈중국’…대만 폭스콘, 인도 공장 투자 돌연철회

머나 먼 ‘탈중국’…대만 폭스콘, 인도 공장 투자 돌연철회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7-11 21:05
수정 2023-07-11 2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서울신문 DB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서울신문 DB
인도를 중국에 대적하는 ‘세계의 공장’으로 키우려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야심 찬 계획에 적신호가 켜졌다. 애플 아이폰을 생산하는 대만 폭스콘이 인도에 우리 돈 25조원을 들여 지으려던 반도체 공장 합작투자 계획을 돌연 취소한 것이다. 해외 기업 제조 공장을 유치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모디 총리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이 타격을 입었다.

11일 현지 매체 인디언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이날 폭스콘은 인도 에너지·철강 재벌 베단타와 공동 추진하던 195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디스플레이 합작 공장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뗀다고 발표했다. 폭스콘은 “위대한 반도체 구상을 실현하고자 베단타와 1년 이상 작업했지만 합작 벤처를 끝내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베단타도 “인도 최초의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폭스콘이 아닌) 다른 파트너를 섭외했다”며 결별을 공식화했다. 양사 모두 구체적인 철회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인디언익스프레스는 “지난해 9월 두 회사가 합작 공장을 구자라트주에 짓기로 발표했을 때부터 논란이 거셌다”고 전했다. 당초 폭스콘은 인도의 경제·금융 중심지인 마하라슈트라주에 공장을 지으려고 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모디 총리의 고향인 구자라트가 낙점됐다. 인도 기업인 베단타가 모디 총리를 배려해 ‘정치적 선택’을 밀어붙였다는 분석이 나왔다.

게다가 두 회사는 모두 반도체를 설계하고 제조할 능력이 없었다. 이 때문에 인도 정부는 유럽 반도체 회사인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나 미국 글로벌파운드리의 지분 참여를 종용하면서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정경유착으로 성장한 베단타가 과연 반도체 시장에서 살아남을 경영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에 대한 폭스콘의 의구심도 상당했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 정부가 베단타·폭스콘을 믿지 못해 보조금 지급 승인을 차일피일 미루자 결국 폭스콘이 ‘전격 철수’라는 초강수를 꺼내 들었다.

모디 총리는 미국의 대중국 압박 기조 때문에 중국에서 떠나려는 기업들을 손쉽게 ‘이삭줍기’할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한 듯하다. 그러나 로이터통신은 10일(현지시간) “폭스콘의 투자 철회는 모디 총리가 인도 현지에서 반도체 생산을 위해 외국 투자자를 유치하려는 계획에 처음으로 가해진 타격”이라며 “세계 반도체 산업이 생각만큼 녹록지 않음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닐 샤 리서치 부사장도 로이터에 “반도체는 ‘메이크 인 인디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이번 거래 무산으로 모디 총리의 야심이 좌절됐다”며 “(인도 정부의 안이한 태도가) 다른 기업들에게도 의구심을 불러 일으켰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