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005621_O2.jpg.webp)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005621_O2.jpg.webp)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연합뉴스
미국과 멕시코 정부는 당초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미국이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조처를 한 달간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3일 오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오늘 저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합의에 도달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관세는 지금부터 한 달 동안 유예한다”면서 “멕시코는 미국으로의 마약 펜타닐 밀매를 차단하기 위해 1만명의 국가방위대원을 국경에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또 멕시코로의 고성능 무기 밀매 억제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멕시코 대통령은 전했다.
그러면서 “양국은 이날부터 보안과 무역이라는 두 가지 분야에서 협상을 시작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3/SSC_20250203061920_O2.jpg.web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3/SSC_20250203061920_O2.jpg.web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AP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일 행정명령을 통해 미 동부 시간 4일 0시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를, 중국에는 기존 관세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그간 ‘관세 무기화’를 공언해 온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처음으로 미국의 1∼3위 교역국에 관세 부과 결정을 내린 것이다.
캐나다는 즉각 “미국산 제품에 25%의 보복 관세를 매기겠다”고 나섰고, 중국도 “세계무역기구(WTO)에 미국을 제소하겠다”고 맞서는 등 ‘글로벌 통상전쟁’이 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