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에 포착된 ‘화산 번개’.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145_O2.jpg.webp)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에 포착된 ‘화산 번개’.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145_O2.jpg.webp)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에 포착된 ‘화산 번개’.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5.2.11 유튜브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에 포착된 ‘화산 번개’.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153_O2.jpg.webp)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에 포착된 ‘화산 번개’.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153_O2.jpg.webp)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에 포착된 ‘화산 번개’.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2025.2.11 유튜브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11일 TBS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8시 3분 사쿠라지마 화산의 미나미다케(南岳) 정상에서 화산 연기가 솟구쳤다. 분석(噴石,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굳은 용암 조각이나 암석 파편 등)도 0.8∼1.3㎞가량 날았다.
화산은 11일 오후 1시 32분 추가 분화했고 화산 연기가 1000m 상공까지 피어 올랐다.
이에 따라 일본 기상청은 ‘분화 경계’ 3단계(입산 규제)도 내렸다. 일본의 화산 분화 경계는 5단계로 이뤄지며 최고 수준인 5단계(피난)에서는 중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 주민들의 피난도 요구한다.
같은날 밤에는 시뻘건 용암과 함께 신비로운 ‘화산 번개’도 목격됐다. 화산 번개는 화산재가 서로 마찰을 일으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날 화산재가 뒤엉킨 검은 연기 사이에서는 번쩍번쩍 화산 번개가 여러 차례 관측됐다.
사쿠라지마는 원래 일본의 대표적인 활화산 섬이지만 1914년 대분화 때 한쪽 바다가 메워져 현재는 규슈와 이어진 반도 형태로 돼 있다.
사쿠라지마는 수시로 분화를 반복하고 있다. 지난달 30일에도 폭발적 분화와 함께 화산 번개가 관측됐다. 9일 분화는 올해 들어 31번째였다.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203_O2.gif)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203.gif)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2025.2.11 유튜브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화산재가 뒤엉킨 검은 연기 사이로 번쩍번쩍 ‘화산 번개’ 현상도 보인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204_O2.gif)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화산재가 뒤엉킨 검은 연기 사이로 번쩍번쩍 ‘화산 번개’ 현상도 보인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204.gif)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이날 밤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화산재가 뒤엉킨 검은 연기 사이로 번쩍번쩍 ‘화산 번개’ 현상도 보인다. 2025.2.11 유튜브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11일 추가 분화한 사쿠라지마 분화구에서 검은 연기가 솟구치고 있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205_O2.jpg.webp)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11일 추가 분화한 사쿠라지마 분화구에서 검은 연기가 솟구치고 있다. 2025.2.11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0205_O2.jpg.webp)
9일 일본 규슈 남부 가고시마현의 화산섬 사쿠라지마(해발 1117m)가 분화해 화산 연기와 가스가 최고 2000m 상공까지 치솟았다. 사진은 관측용 폐쇄회로(CC)TV 화면. 11일 추가 분화한 사쿠라지마 분화구에서 검은 연기가 솟구치고 있다. 2025.2.11 유튜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