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부는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끌려간 쉴로모 만수르가 납치 당시 이미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3751_O2.jpg.webp)
로이터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부는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끌려간 쉴로모 만수르가 납치 당시 이미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1/SSC_20250211193751_O2.jpg.webp)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부는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끌려간 쉴로모 만수르가 납치 당시 이미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이스라엘 인질 가운데 최고령자인 쉴로모 만수르(납치 당시 85세)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끌려갈 당시 이미 숨진 상태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11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남부 가자지구 접경지에 있는 키수핌 키부츠(집단농장)는 성명에서 만수르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접했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군은 하마스가 이스라엘 남부를 기습 공격한 2023년 10월7일 만수르를 살해한 뒤 시신을 가자지구로 옮긴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1938년 이라크에서 태어난 만수르는 1941년 바그다드에서 유대인을 상대로 벌어진 폭동 ‘파르후드’ 사태에서 살아남아 이주한 뒤 1948년 이스라엘 건국을 지켜봤다. 이후 키수핌 키부츠를 세웠으며 목수일을 하고 닭장을 치며 생활했다. 하마스 기습 때 그의 부인 마잘은 살아남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성명에서 “이 나라의 건국자 중 하나인 만수르가 살해당했다는 슬픈 소식을 애도한다”며 “그가 이스라엘의 무덤으로 돌아갈 때까지, 모든 인질이 귀환할 때까지 쉬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마스는 기습 공격으로 이스라엘에서 약 1200명을 살해하고 251명을 납치해 가자지구로 끌고 갔다. 이들 중 일부는 2023년 11월 일시 휴전 때 석방되거나 숨진 채로 발견됐다. 하마스는 지난달 19일 이스라엘군과 휴전에 돌입한 이후 생존 인질 21명을 풀어줬다. 현재 생존자와 사망자를 합쳐 인질 73명이 가자지구에 남아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