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취임 이후 美경찰 중무장화

오바마 취임 이후 美경찰 중무장화

입력 2014-08-21 00:00
업데이트 2014-08-21 01: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방부, 자동소총 수만정 등 지급

미국 미주리주 경찰이 퍼거슨 사태 시위 진압에 군대 수준의 과잉 무장을 해서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미 국방부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 이후 수만 정의 자동소총 등 무기를 경찰에 대량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는 19일(현지시간) 전국의 경찰이 2006년부터 군에서 양도받은 장비는 자동소총과 유탄발사기, 지뢰 방호 차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고 전했다. 20만개가량의 자동소총 탄창과 방탄복, 장갑차, 야간 투시장치, 중무장 공격용 헬기 등도 포함됐다. 오바마 대통령이 전날 경찰의 과도한 공권력 행사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지만 정작 시위대를 향한 총탄은 사실상 정부가 제공했다는 얘기다.

존 커비 국방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군은 장비를 아무에게나 무리하게 공급하지 않는다”면서 “공권력을 집행하는 사법기관이 원하거나 그럴 자격이 있다고 판단할 때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 제공한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군이 여분의 장비를 경찰에 공급해 경찰의 중무장화를 돕고 있다는 비난 여론은 거세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퍼거슨시에서 불과 6㎞ 떨어진 세인트루이스에서 20대 흑인 청년이 경찰관의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긴장이 높아지고 있다. 편의점에서 에너지 음료 등을 훔친 것으로 알려진 청년은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게 흉기를 들고 “나를 죽이라”고 외치며 다가가던 중 총에 맞았다. 세인트루이스 경찰국장은 기자회견에서 “안전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밝혔지만 경찰의 과잉 대응 논란이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이번 총격 사건은 퍼거슨시 소요 사태가 격화되는 와중에 발생했다. 지난 9일 백인 경찰 대런 윌슨의 총격에 18세 흑인 청년 마이클 브라운이 사망한 이후 이 지역에서 연일 항의 시위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이날 현재까지 78명이 체포됐다고 CNN은 보도했다. 거리에는 시위대가 던진 돌과 화염병 등이 난무하는 상태다.

상황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자 이전에 경찰 총격 사망사건을 겪은 유족도 사태 진정에 나섰다. 2006년 결혼을 몇 시간 앞두고 나이트클럽에서 총각파티를 벌이다 뉴욕 경찰의 50여 차례 총격에 사망한 숀 벨(당시 23세)의 부모는 “(약탈과 폭동, 강제진압은) 해결책이 아니다”라며 “이웃의 눈물을 빌미로 새로운 문제를 만들지 말라”고 호소했다고 뉴욕데일리뉴스가 보도했다. 브라운의 아버지 역시 “이번 사건의 초점을 유지해야 한다”면서 “폭력을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도 “진상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평정을 유지해 달라”고 양측에 촉구했다.

한편 흑인 여성으로는 최초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최고법원 판사가 된 나비 필레이 유엔 인권최고대표도 “이번 사태는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정책)를 연상시킨다”며 “경찰의 과도한 무력 사용을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가 지난 14~17일 미국 성인 1000명을 조사한 결과 퍼거슨 사태와 관련해 응답자의 40%가 “경찰이 너무 과도하게 대응했다”고 말한 반면 28%만이 “정당했다”고 답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4-08-21 1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