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론적 발언” “협상 자신감 표출”
둘 다 예측 불가… 예단 어려워의외로 북·미관계 풀릴 수도
일각 “오바마 정부 비판” 관측도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5/18/SSI_20160518174120_O2.jpg)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5/18/SSI_20160518174120.jpg)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연합뉴스
연합뉴스
트럼프는 17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트럼프타워에 있는 집무실에서 가진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그(김정은)와 대화할 것이다. 그와 대화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기존에 트럼프는 김 위원장을 비난하며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는 입장이었다. 특히 처음 대선에 출마한 2000년에는 자신의 저서에 “북한의 영변 핵원자로를 정밀 타격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던 만큼 발언의 방향이 상당히 달라진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는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이에 트럼프의 이날 발언이 북한과 대화도 가능하다는 식의 원론적 발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그의 외교 보좌역인 왈리드 파레스는 “트럼프는 누구와도 협상할 수 있다는 게 기본적인 원칙”이라며 “먼저 (북한의) 행동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협상가로서의 자신감을 드러냈다는 관측부터 ‘전략적 인내’를 유지해 온 버락 오바마 정부에 대한 비판이 담긴 것이란 설명도 있다.
다만 트럼프가 본선에서도 계속 같은 입장을 내세울 경우 우리 정부로서는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여전히 북한에 대해 “지금은 제재할 때”라는 강경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게 되면 대북 정책의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대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는 “트럼프가 내지르는 발언을 많이 한 만큼 이 역시 아직 판단할 때가 아닌 것 같다”며 “추후 외교 정책의 틀이 완전히 잡힌 뒤에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의 독특한 성격 탓에 그가 미 대통령이 될 경우 대북 협상력이 높아질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그간 대북 협상의 어려움 중 하나는 북한은 한·미의 입장을 예측할 수 있지만 한·미는 북한의 속내를 파악하기 힘들다는 ‘정보 비대칭성’에 있었다.
하지만 트럼프는 예측 불가능성이란 측면에서는 김 위원장과 비슷한 면이 있어 북한 역시 섣부른 행동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6-05-1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