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비핵화 돌파구 될 것”“일방적 양보로 北에 보상만”

“한반도 비핵화 돌파구 될 것”“일방적 양보로 北에 보상만”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2-26 23:34
업데이트 2019-02-27 0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정계·언론, 기대 반 우려 반

“진정한 기회라면 방해되지는 않을 것” 엥겔 하원 외교위원장, 초당적 협력 시사
WP “구체적 행동 끌어 내느냐가 관건”
NBC “北, 협상 중에도 핵·미사일 진전”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미국 조야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 톱다운 방식의 독특한 외교 전략을 구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의 돌파구를 찾을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북한에 보상만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공존했다.

엘리엇 엥겔 미 하원 외교위원장(민주·뉴욕)은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진보센터의 ‘2차 북미 정상회담: 미국, 일본, 한국의 전망’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우리는 모두 (2차 정상회담의) 성공을 원한다”면서 “만약 대통령이 그것을 해낼 수 있다면 나는 대통령에게 잘했다고 말하는 첫 번째 인물이 될 것”이라며 2차 정상회담의 성공을 기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외교가 성공하는 것을 보고 싶다”면서 “민주당은 많은 것에서 동의하지 않는 대통령과 정부의 성과라 해도 진정한 기회에 방해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북핵 해결의 초당적 협력을 시사했다.

워싱턴포스트는 “2차 정상회담의 야심찬 윤곽이 대략 드러나고 있다”면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북한의 구체적인 행동을 이끌어 내느냐가 성공의 열쇠”라고 지적했다. 보니 젠킨스 미 국무부 위협감축 프로그램 조정관은 악시오스에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비핵화의 진전을 바란다면 평화협정과 종전선언을 위한 협상으로 한 단계 나아가기 위해 이번 회담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미기업연구소(AEI) 니컬러스 에버슈타트 연구원은 “2차 정상회담의 성공 여부는 북한의 핵활동·시설 목록과 전문가 검증, 북한의 한국 정통성 인정,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 전달 등 4가지로 평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애틀랜틱은 “2차 정상회담이 잘 진행된다면 한반도의 평화와 북한의 비핵화 문제에서 돌파구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내면서도 “최악의 경우 미국이 북한 위협을 줄이지 못하고 보상만 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로버트 졸릭 전 세계은행 총재 발언을 인용해 “달콤한 대화가 아니라 북한 지도자를 구체적인 약속으로 붙잡아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NBC방송은 “북한이 미국과 비핵화 협상을 진행하는 중에도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진전시켜 왔다”며 북한의 의도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9-02-2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