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압수품 팔아 빈곤층 지원할 것”
![경매에 참석한 시민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30/SSI_20190730140750_O2.jpg)
![경매에 참석한 시민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7/30/SSI_20190730140750.jpg)
경매에 참석한 시민들
멕시코시티 AP 연합뉴스
AP통신에 따르면 28일(현지시간)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 차풀테펙공원에 있는 옛 대통령 관저 로스 피노스가 화려한 보석 전시장을 탈바꿈했다. 그러나 전시회가 아닌 정부가 마약 조직 등 범죄나나 탈세자로부터 압수한 보석류를 경매하는 자리로 고급 자동차 경매 등에 이어 당국이 여는 세 번째 경매다.
지난해 12월 취임한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스 대통령은 긴축정책의 일환으로 그간 정부 창고에 쌓여있던 범죄 압수물을 경매에 부쳐왔다. 빈곤 지역의 인프라 확충 등 빈곤층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서다.
이번 경매에 전시된 압수품 중에는 스위스의 유명 시계업체인 로메인 제롬사가 과거 유출된 타이태닉호의 잔해 1.5㎏을 사들여 한정판으로 만든 ‘타이태닉 DNA’도 있었다. 타이태닉 침몰 100주기인 2012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2012개만 한정 생산된 제품으로 종류에 따라 약 800만원에서 1억 8000만원 이상을 호가하기도 한다. 또 1331개의 다이아몬드로 덮인 악어 장식의 백금 팔찌와, 450개의 작고 검은 다이아몬드로 덮인 총알 모양의 노란색 금 펜던트도 전시됐다. 멕시코 정부가 압류한 보석류는 2000점에 달하지만 이날 선보인 물품은 148개였다.
이번 보석 경매에 앞서 많은 시민이 로스 피노스를 찾아 전시된 경매 물품을 관람했다. 저마다 사연이 있는 ‘피묻은’ 보석들을 보고자 일부 시민들은 30분 이상 줄을 서서 기다렸다.
그러나 경매 당일 열기는 정부의 기대만큼 뜨겁지는 않았다. 멕시코 일간 엘우니베르살에 따르면 이날 경매에 나온 148개 물품 중 110개가 팔렸으며 낙찰자는 모두 70명이었다. 경매 전 정부의 목표치는 2100만페소(약 13억원)였지만 이날 경매 수익은 1030만페소(약 6억 4000만원)에 그쳤다. 가장 비싸게 팔린 건 한정판 18K 백금 명품 시계로 102만 페소였다.
정부는 이번 보석 경매로 번 돈을 멕시코 중서부 미초아칸주 도로를 개선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엘우니베르살은 다음 네 번째 경매 때 마약 밀래 등으로 체포된 중국계 멕시코인 전리 예 군(중국명 예전리)의 집 등이 나올 예정이라고 전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