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0명의 중앙 아메리카 출신 이민자들이 미국행을 포기하고 미국 정부가 제공하는 비행기나 버스를 이용해 조국에 돌아가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1일(현지시간) 전했다.
이른바 ‘조력을 받은 자발적 귀환’(AVR) 프로그램은 미국에 당도하지도 못했거나 국경을 건넌 다음 구금돼 나중에 멕시코 구금센터에 수용돼 미국 정부의 망명 심문을 기다리는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10개월 동안 실행됐다고 유엔 산하 국제이주기구(IOM)의 멕시코 미션 책임자인 크리스토퍼 개스콘이 밝혔다. 미국 국무부 예산으로 165만 달러(약 20억원)를 충당했는데 망명 희망자들을 박해 받을 위험이 있는 모국에 돌려보내면 안된다는 국제법 원칙을 거스를 수 있다고 지적하는 이들이 많다.
아직 이런 방식으로 귀환에 합의한 이민자들은 미국의 망명 관리들로부터 심문을 받지도 않았다. 하지만 개스콘은 이민자들을 모두 심문해 미국 망명 희망을 접고 본국으로 귀환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이들만 이런 귀국 프로그램에 동의했다고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렇게 IOM의 도움을 받아 귀국하는 것이 스스로 귀환 길에 오르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고 인도적인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이 망명 신청자들을 멕시코에서 대기하도록 하면서 치안이 불안한 멕시코 국경 지역에 머물게 된 이민자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귀국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지역 폭력조직의 살해 위협에 일곱 살 아들과 함께 미국행에 나섰던 온두라스 출신 데니아 카란사(24)는 멕시코 시우다드후아레스에서 미국 망명 절차를 기다리다 결국 온두라스행 버스를 타기로 했다. 카란사는 로이터에 “온두라스로 돌아가는 것이 두렵지만, 여기에 머무는 것이 더 무섭다”고 말했다.
개스콘은 중앙 아메리카 출신 이민 희망자들이 미국 국경을 향해 행진하는 캐러밴 행렬이 진행 중이던 지난해 미국 국무부가 IOM에 이런 제안을 하며 접근했다고 털어놓았다.
사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민 보호 프로토콜’(MPP) 정책에 따라 본국으로 귀환시킨다고 해 지난 1월 29일 347명을 IOM에 위탁했으나 이들은 멕시코 구금시설에 갇혀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이런 식으로 일곱 달 동안 멕시코에 발이 묶인 사람만 3만명이 넘는다고 미국 관세 및 국경보호국은 밝혔다.
텍사스주 엘패소에 본부를 둔 라스 아메리카스 이민보호센터의 변호사 니콜라스 팔라초는 “멕시코 상황 때문에 귀환하겠다고 결심했는데 어떻게 이걸 자발적 귀환이라고 할 수 있느냐? 그건 두 지옥 가운데 하나를 고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IOM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5일까지 미국-멕시코 국경 근처에서 숨진 이민 희망자는 247명이 된다.
지난달 26일까지 자발 귀환 프로그램에 응한 이민 희망자의 25%는 온두라스로, 20%는 엘살바도르로, 나머지는 과테말라와 니카라과로 돌아간다. 절반 이상은 가족 단위이며 부모 없는 청소년은 100명 가량 된다.
온두라스 출신 앙헬 에스트라다는 아홉 살 아들이 혈우병을 앓고 있으니 미국 정부가 돌봐줬으면 좋겠다며 “여기까지 오느라 온갖 고생을 다했는데 이제 돌아간다. 진짜 슬프다”고 말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이른바 ‘조력을 받은 자발적 귀환’(AVR) 프로그램은 미국에 당도하지도 못했거나 국경을 건넌 다음 구금돼 나중에 멕시코 구금센터에 수용돼 미국 정부의 망명 심문을 기다리는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10개월 동안 실행됐다고 유엔 산하 국제이주기구(IOM)의 멕시코 미션 책임자인 크리스토퍼 개스콘이 밝혔다. 미국 국무부 예산으로 165만 달러(약 20억원)를 충당했는데 망명 희망자들을 박해 받을 위험이 있는 모국에 돌려보내면 안된다는 국제법 원칙을 거스를 수 있다고 지적하는 이들이 많다.
아직 이런 방식으로 귀환에 합의한 이민자들은 미국의 망명 관리들로부터 심문을 받지도 않았다. 하지만 개스콘은 이민자들을 모두 심문해 미국 망명 희망을 접고 본국으로 귀환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이들만 이런 귀국 프로그램에 동의했다고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렇게 IOM의 도움을 받아 귀국하는 것이 스스로 귀환 길에 오르는 것보다 훨씬 안전하고 인도적인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온두라스 이민 희망자 데니아 카란사(가운데 붉은 옷에 아이를 안은 여인)와 아들 로베르트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망명 희망을 접고 유엔 산하 국제이주기구(IOM)가 미국 국무부의 지원을 받아 제공하는 버스에 오르는 행렬에 서 있다.
시우다드후아레스 로이터 연합뉴스
시우다드후아레스 로이터 연합뉴스
개스콘은 중앙 아메리카 출신 이민 희망자들이 미국 국경을 향해 행진하는 캐러밴 행렬이 진행 중이던 지난해 미국 국무부가 IOM에 이런 제안을 하며 접근했다고 털어놓았다.
사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민 보호 프로토콜’(MPP) 정책에 따라 본국으로 귀환시킨다고 해 지난 1월 29일 347명을 IOM에 위탁했으나 이들은 멕시코 구금시설에 갇혀 오도가도 못하는 신세가 됐다. 이런 식으로 일곱 달 동안 멕시코에 발이 묶인 사람만 3만명이 넘는다고 미국 관세 및 국경보호국은 밝혔다.
텍사스주 엘패소에 본부를 둔 라스 아메리카스 이민보호센터의 변호사 니콜라스 팔라초는 “멕시코 상황 때문에 귀환하겠다고 결심했는데 어떻게 이걸 자발적 귀환이라고 할 수 있느냐? 그건 두 지옥 가운데 하나를 고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IOM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5일까지 미국-멕시코 국경 근처에서 숨진 이민 희망자는 247명이 된다.
지난달 26일까지 자발 귀환 프로그램에 응한 이민 희망자의 25%는 온두라스로, 20%는 엘살바도르로, 나머지는 과테말라와 니카라과로 돌아간다. 절반 이상은 가족 단위이며 부모 없는 청소년은 100명 가량 된다.
온두라스 출신 앙헬 에스트라다는 아홉 살 아들이 혈우병을 앓고 있으니 미국 정부가 돌봐줬으면 좋겠다며 “여기까지 오느라 온갖 고생을 다했는데 이제 돌아간다. 진짜 슬프다”고 말했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