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이번엔 美국무부 부장관설

비건, 이번엔 美국무부 부장관설

한준규 기자
입력 2019-08-27 17:46
업데이트 2019-08-28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폴리티코 “北 정상회담만 원해 좌절”…대북특별대표 수개월간 공석 될 수도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거취 논란이 또 불거졌다. 최근 주러시아 대사설에 이어 이번에는 국무부 부장관설이다.

폴리티코는 26일(현지시간) 미 정부 고위 관계자 2명의 말을 인용해 “비건 특별대표가 국무부 ‘2인자’ 자리인 부장관 후보로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존 설리번 현 국무부 부장관이 주러시아 대사로 가게 되면 그 자리로 비건 특별대표가 옮길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폴리티코는 아직 국무부 부장관 후보를 검토하는 초기 단계지만 다수의 정부 관계자들은 비건 특별대표를 강력한 부장관 후보로 꼽고 있다고 했다. 미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현 (정부) 시스템 내에 있는 사람이 좋다”면서 “(그런 인사는 정부 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이미 기밀 정보를 취급할 수 있는 허가를 받은 상태”라며 비건 특별대표의 부장관설을 뒷받침했다.

폴리티코는 그러나 비건 특별대표가 최근 지인들에게 특별대표직을 내려놓고 민간 부문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사를 피력했다고도 전했다. 그는 특히 트럼프 정부의 대북특별대표로서 미국의 목표인 북한 비핵화를 이뤄 내기 위한 북한 관계자들과 만남에서 어려움을 겪어 온 것으로 전해졌다. 비건 특별대표와 친분이 있는 공화당 관계자는 “비건 특별대표는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만 원하는 것에 좌절했다”면서 “북한이 정상급 회담만 강조하면서 비건 특별대표급의 실무협의는 잘 이뤄지지 못했다”고 전했다.

비건 특별대표가 부장관으로 옮기게 된다면 대북특별대표 자리는 당분간 공석이 될 가능성이 높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트럼프 정부 내 북한을 제대로 아는 인물도 거의 없을뿐더러 비밀취급인가 등 행정 절차로 몇 달은 공석이 될 수 있다”면서 “북한과의 관계 진전이 필요한 트럼프 정부는 워싱턴 싱크탱크의 한반도 전문가 중 한 사람을 대북특별대표로 발탁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9-08-28 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