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부실금융 탈출 딜레마…파월, 둘 다 잡을까 다 놓칠까

인플레·부실금융 탈출 딜레마…파월, 둘 다 잡을까 다 놓칠까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3-03-24 02:03
수정 2023-03-24 06: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금리 소폭 인상으로 절충했다지만
연준 신뢰 하락·엇박자 대응 우려도

英 중앙은행도 금리 0.25%P 인상

이미지 확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서울신문 DB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서울신문 DB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을 위해서는 금리 인상이, 금융 불안 종식을 위해서는 금리 하락이 필수적인 ‘딜레마’ 상황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위태로운 줄타기가 주목된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22일(현지시간) “은행권의 위기로 일부 위원이 금리 동결을 고려했지만 물가 압력 때문에 베이비스텝(금리 0.25% 포인트 인상)을 밟았다”며 일종의 절충안이었다는 걸 시사했다. 그러면서도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의 파산에도 ‘예금 전액 보호’ 조치를 단행한 점을 설명하며 “(미국의) 은행 시스템은 탄탄한 자본과 유동성을 바탕으로 건전하고 탄력적”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통화 정책으로 눈을 돌려 보면,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너무 높고 노동 시장은 여전히 매우 타이트하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그의 발언에서도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셈이다. 연준의 정책 향방은 금융 불안에 대해서는 유동성 공급 등의 정책으로 막고, 고물가는 현 긴축 기조의 통화정책으로 대응해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플레이션과 은행권 위기 사이에서 연준이 얼마나 오래 줄타기를 지속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이어 “고금리는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는 동시에 금융기관의 대출 비용을 높여 대출이 감소하게 된다”며 은행권 위기와 물가 문제를 별도의 도구로 대응하기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연준의 신뢰 저하 역시 부담이다. 이미 연준이 인플레이션에 늑장 대응하면서 지난해 하반기에 급격하게 금리를 올렸고, 그 결과 중소은행들이 파산했다는 소위 ‘연준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또 이날 파월 의장은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는 취지로 설명했지만,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선물시장은 오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70% 이상으로 봤다.

은행권 위기와 물가 사이에서 절충적인 금리 인상을 고수하다가는 물가도 못 잡고 금융기관의 부실만 심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연준은 이날 올해 미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0.4%로 직전보다 0.1% 포인트 낮췄다.

한편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이 23일 기준금리를 연 4.25%로 0.25% 포인트 올렸다. 11번 연속 금리 인상이다. 영국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유일하게 경제가 코로나19 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고 물가 상승률은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2023-03-24 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