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우융캉 제국’, 시진핑 사정 칼날에 초토화

‘저우융캉 제국’, 시진핑 사정 칼날에 초토화

입력 2014-07-30 00:00
업데이트 2014-07-30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쓰촨방ㆍ석유방 등 ‘부패인맥’ 줄줄이 낙마

거미줄처럼 얽힌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국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 정법위원회 서기의 ‘부패 인맥’이 시진핑(習近平) 지도부 출범 이후 사실상 뿌리째 뽑혔다.

저우 전 상무위원의 인맥은 크게 ‘쓰촨방’(四川幇·저우융캉이 쓰촨성 당서기로 근무할 때 그를 따르던 세력)과 ‘석유방’(石油幇·저우융캉과 인맥을 형성하는 석유기업 고위 간부 출신의 정치세력)으로 나뉜다.

30일 중국 인터넷 뉴스포털 텅쉰(騰迅) 등에 따르면 저우융캉의 정치적 근거지로 꼽히는 쓰촨성 지역은 시진핑 체제 이후 지금까지 1만 명 이상의 관리가 당국의 조사를 받았다.

고위급 인사로는 리춘청(李春城)·궈융샹(郭永祥) 전 부성장과 리충시(李崇禧) 전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등이 이 조사 과정에서 낙마했다.

쓰촨성의 미녀 부호로 불린 여성기업가 허옌(何燕)은 불법경영 등의 혐의로 지난 1월 구속됐다.

또 쓰촨성 재계 거물인 류한(劉漢) 한룽(漢龍)그룹 회장은 지난 5월 고의살인 및 조직폭력 등 혐의로 1심에서 사형이 선고됐다.

저우 전 상무위원은 1999∼2002년 쓰촨성 서기로 재직하면서 전방위 측근 인맥을 구축했다.

중국 당국이 쓰촨성 정관계와 재계에 대한 강도 높은 사정을 벌인 것은 본격적인 저우융캉에 대한 처벌 절차에 앞서 지지세력을 와해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중화권 매체들은 해석했다.

중국 사정 당국은 지난 2월 저우 전 상무위원의 오른팔로 꼽히는 지원린(冀文林) 하이난(海南)성 부성장에 대한 당내조사 사실을 공개하기도 했다.

지 부성장은 저우융캉의 개인 비서로 일한 경력을 가진 그의 그림자 같은 인물로 범 쓰촨방으로 꼽힌다.

석유방 인맥 가운데는 장제민(蔣潔敏) 전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주임과 왕융춘(王永春) 전 중국석유 부총경리, 리화린(李華林) 전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 부사장 등이 낙마했다.

석유방 출신들은 국가 경제의 생명선으로 불리는 석유 부문을 장악하고 각종 이권에 개입해 왔다. 저우융캉은 중국석유천연가스총공사 사장을 역임하는 등 석유 관련 부문에서만 37년을 일했다.

공안 분야에서는 리둥성(李東生) 전 공안부 부부장 등에 대한 당국의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리 전 부부장은 지난 6월 부패 혐의로 공산당 당적은 이미 박탈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