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中경제, 뉴노멀 조정기 거쳐 美 추월할 것”

[세계의 창] “中경제, 뉴노멀 조정기 거쳐 美 추월할 것”

입력 2015-01-27 00:32
수정 2015-01-27 03: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오허핑 베이징대 경제학과 교수

중국 베이징대 경제학과 차오허핑(曹和平) 교수는 26일 서울신문 인터뷰에서 “중국의 경제 구조 고도화 작업은 과거 한국 등 아시아 네 마리 작은 용이 했던 것처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면서 “네 마리 용보다 덩치가 훨씬 큰 중국 경제는 ‘뉴노멀’이라는 조정기를 거쳐 미국을 추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차오허핑 베이징대 경제학과 교수
차오허핑 베이징대 경제학과 교수
→중국의 ‘경제 뉴노멀’이란.

-‘경제 뉴노멀’은 속도 중심인 초고속 성장에서 경제의 질을 중시하는 중고속 성장으로 바뀌는 과도기다. 경제 성장 속도는 연평균 8~11%에서 6~8%로 조정된다. 투자나 수출 대신 내수가 성장을 견인하며, 이를 위해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 경제 구조가 고도화된다. 기술 혁신도 수반된다.

→중국 경기가 심상치 않은데.

-시장에서는 중국 부동산 문제를 우려스럽게 여기지만 이는 경제 뉴노멀에 수반되는 정상적인 변화다. 그동안 중국 경제가 연평균 10% 성장할 때 부동산은 20% 이상씩 성장했다. 경제 성장률을 뉴노멀 상태의 6~8%로 끌어내리려면 부동산 성장률도 그만큼 낮아져야 한다. 이 같은 조정의 결과로 올해 중국 경제는 1, 2분기 6% 후반대의 성장을 기록하다가 3분기부터 7% 이상으로 반등해 연평균 7%대의 성장을 기록할 것이다.

→경착륙을 막기 위한 당국의 대안은.

-중국 거시경제의 기조는 ‘신중한 통화정책’과 ‘적극적인 재정정책’이다. 중국은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과 새로운 사회간접자본(SOC) 건설 항목을 발주하는 등의 재정정책을 병행해 시장에 돈을 풀고 흡수하는 식으로 경제 성장을 자극할 것이다.

→세계 경제를 이끄는 성장 엔진인 중국이 성장 속도를 낮추면 세계 경제가 동반 침체될 텐데.

-중국은 그동안 에너지 다소비 업종과 단순 가공 업종으로 경제를 성장시켰기에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혜택을 본 나라는 중국에 철광석 등 원자재를 수출한 일부 국가에 제한돼 있었다. 그러나 중국이 거대한 서비스 시장으로 탈바꿈할 경우 3차 산업이 발달한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들도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중국 경제의 성장 축을 전환하는 ‘경제 뉴노멀’이 완성되면 세계 경제에 대한 공헌이 커진다.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중국 경제는 과거 수출·투자가 견인하던 것에서 벗어나 소비가 경제를 이끄는 ‘이노베이션’(創新) 형태로 변하고 있다. 한국도 중국의 지식 서비스업 발전에서 기회를 잡아야 한다. 한국은 중국과 문화적으로 정서가 비슷해 중국 시장을 공략하는 데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

글 사진 베이징 주현진 특파원 jhj@seoul.co.kr
2015-01-2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