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반응 언론 비난과 달라… 향후 中·日관계 개선 기조 기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전후 70년 담화에서 ‘과거형 사죄’와 ‘주어 없는 반성’으로 일관한 것에 대해 중국 언론들은 “교활한 말장난”이라고 맹비난했지만, 중국 정부는 차분한 반응을 보여 중·일 관계 개선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중국 외교부는 지난 14일 자정쯤 발표한 아베 담화에 대한 공식 논평에서 “역사를 정확히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이 일본과 아시아 주변국 관계 개선의 기초가 되며 미래를 여는 전제”라면서 “군국주의 침략 전쟁에 대해 진정한 사과를 하라”고 촉구했다. 신화통신의 ‘물타기 사죄’와 차이나데일리의 ‘교활한 레토릭(수사)’ 등의 비판보다 훨씬 정제되고 차분했다. 관영매체를 동원해 국민의 반일정서를 대변했지만 일본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뜻은 없다는 신호를 보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베이징의 고위 외교 소식통은 16일 “중국 정부가 아베 담화에 대해 차분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지난해 11월 이후 자리잡은 과거사와 지금의 중·일 관계를 분리대응한다는 중국의 입장이 더욱 선명해졌다”면서 “담화가 양국 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은 관계 개선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중국 학자들도 담화가 나온 직후에는 비판으로 일관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아베 담화로 인해 중·일 관계가 악화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으로 바뀌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연구소 펑자오쿠이 교수는 “담화는 아베 총리 개인의 신념과 주변국 관계, 일본의 정치 지형 등을 고려한 대단히 복잡한 외교·정치적 산물로 ‘침략’, ‘식민 지배’, ‘반성’, ‘사죄’ 등의 단어가 부자연스럽게 배치될 수밖에 없었다”면서 “담화가 불충분하다고 중·일 관계 개선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상하이사회과학원 국제연구소 수비취안 교수도 “중국과 한국의 압박으로 그나마 이러한 담화가 나온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중·일 관계는 아베 담화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국의 실질적인 정책과 행동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승전 70주년 기념활동을 통해 일본과 최대공약수를 찾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8-1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