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동안 연락 끊어 죄송합니다” 무릎 꿇은 중국 불효자

“16년 동안 연락 끊어 죄송합니다” 무릎 꿇은 중국 불효자

임병선 기자
입력 2021-11-19 10:47
수정 2021-11-19 10: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웨이보 동영상 캡처
웨이보 동영상 캡처
“16년 만이네요. 어머니 죄송합니다. 이 불효자를 용서해주세요.”

중국 산둥성 출신의 왕씨(39)는 비디오 게임에 빠져 2005년 대학 졸업시험을 통과하지 못한 것이 창피하고 부끄러워 지금까지 가족과 연락을 끊고 산시성 시안에서 혼자 지내왔다. 부모 집은 10시간 떨어진 곳이었는데 한번도 찾지 않았는데 지난 16일 관청의 연락을 받고 달려온 부모들에게 용서를 빌었다고 샨시 뉴스가 전했다. 인사이더 닷컴에 따르면 웨이보에는 울먹이는 왕씨가 무릎을 꿇고 어머니에게 용서를 비는 모습이 담겨 있다.

시안 관세청이 낸 성명에 따르면 왕씨는 비디오 게임에 빠져 학업을 소홀히 하는 바람에 대학을 졸업하지 못하자 부모 얼굴을 뵐 면목이 없다며 연락을 끊어버렸다. 그는 2001년 고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해 중국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211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세워진 대학에 입학, 집안의 기대를 모았으나 이렇게 되자 낙담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시안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생계를 이어가면서도 부모를 찾지 않았다. 우리 식으로 하면 주민등록도 옮기지 않았다.

강산이 두 번쯤 바뀔 세월이 흐른 뒤 그는 지방 관청에 주민등록 신고를 한 뒤 부모 집을 찾았다. 관청에는 오래 전 실종 신고가 돼 있었다. 중국의 과열된 교육열이 부른 ‘웃픈’ 현상이다.

왕씨의 아버지는 바일루 TV에 적어도 일년에 두 차례는 아들을 찾기 위해 시안의 이곳저곳을 찾아 헤맸다고 했다. 적어도 일주일은 머무르며 시안의 모든 거리를 다 돌아다녔고, (게임에 빠졌다는 얘기를 들었는지) 인터넷 카페들을 모두 뒤졌다고 했다. 그의 어머니는 샨시 뉴스에 늘 “최악을 대비하고 있었다”며 아들이 죽은 줄로만 여기고 있었다고 했다. “하지만 아들을 책망하고 싶지 않다. 난 다시 아들 얼굴을 볼 수 있어서 행복할 따름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