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 하얼빈 亞게임 사이버 공격”… NSA 요원 3명 지명수배

中 “美, 하얼빈 亞게임 사이버 공격”… NSA 요원 3명 지명수배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5-04-15 18:08
수정 2025-04-16 06: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학 2곳과 경기 관련자 정보 접근
헤이룽장성 산업 시설 파괴 시도”

이미지 확대
3일 중국 베이징의 한 기념품 가게에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가 함께 진열돼 있다. 2025.4.3 베이징 AP 연합뉴스
3일 중국 베이징의 한 기념품 가게에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가 함께 진열돼 있다. 2025.4.3 베이징 AP 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올해 초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을 겨냥한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사이버 공격이 있었다며 NSA 요원 3명을 지명수배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양국의 갈등이 안보 분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관영 신화통신은 15일 하얼빈시 공안국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NSA 소속 캐서린 A 윌슨, 로버트 J 스넬링, 스티븐 W 존슨 등 요원 3명에 대한 수배를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공안국은 지난 2월 열린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에 대한 해외 사이버 공격이 있었으며 조사 결과 NSA 요원 3명과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 버지니아공대 등 미국 대학 2곳이 공격에 참여했음을 밝혀냈다고 설명했다.

공안국은 사이버 공격을 주도한 곳이 NSA 정보부 데이터정찰국 산하 특수접근작전실(TAO·코드명 S32)이었다고 전했다. 또 “이들은 공격 출처를 숨기기 위해 유럽과 아시아 국가의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익명으로 임대해 활용했다”고 밝혔다.

공안국은 NSA 공격이 동계아시안게임 등록 시스템, 도착 관리 시스템 등 중요 시스템에 집중됐다며 “많은 경기 관련자의 신원 등 민감 정보에 접근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 NSA가 헤이룽장성의 에너지·교통·수자원·통신·국방연구대학 등 중요 산업 시설에 대해서도 공격을 감행했다며 “핵심 정보 인프라 파괴와 사회질서 혼란 유발, 중요 기밀 절취를 의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안국은 “단서를 준 제보자와 범죄 혐의자를 체포하는 데 도움을 준 사람에게 보상금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4-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