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는 산사태 불안감에 노숙 택해
하루에 1000명 이상 배편으로 피난
그리스 정부, 휴교령·구조대원 배치
![산토리니섬 탈출하는 주민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20937_O2.jpg.webp)
산토리니 로이터 연합뉴스
![산토리니섬 탈출하는 주민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20937_O2.jpg.webp)
산토리니섬 탈출하는 주민들
연이은 지진 발생으로 섬을 떠나려는 그리스 산토리니섬 주민들이 4일(현지시간) 피레우스로 향하는 여객선 승선을 기다리고 있다. 그리스의 최대 관광지인 이 섬에서 밤새 강진이 이어지자 주민들은 야외에서 잠을 자거나 항공기, 여객선을 이용해 피난을 떠나고 있다.
산토리니 로이터 연합뉴스
산토리니 로이터 연합뉴스
이온음료 광고 촬영지로 유명한 관광지 그리스 산토리니섬에 지난 3일간 200차례의 지진이 일어나 수백명의 주민과 관광객들이 탈출에 나섰다.
AP통신은 4일 지난달 31일부터 산토리니를 비롯한 아모르고스, 아나피, 이오스 등 인근 4개 섬의 학교에는 이번 일주일 동안 휴교령이 내려졌으며, 구조견과 구조대원들이 섬에 배치됐다고 전했다.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는 “매우 심각한 지질학적 현상을 처리할 것”이라며 “섬 주민들은 우선 침착함을 유지하고 정부의 요청을 따라 달라”고 당부했다.
![파란색 지붕의 흰색 집들로 지난해에만 340만명의 관광객이 찾은 그리스 산토리니섬 전경. 여러 단층에 걸쳐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산토리니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73929_O2.jpg.webp)
![파란색 지붕의 흰색 집들로 지난해에만 340만명의 관광객이 찾은 그리스 산토리니섬 전경. 여러 단층에 걸쳐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산토리니 로이터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04/SSC_20250204173929_O2.jpg.webp)
파란색 지붕의 흰색 집들로 지난해에만 340만명의 관광객이 찾은 그리스 산토리니섬 전경. 여러 단층에 걸쳐 있어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 산토리니 로이터 연합뉴스
산토리니섬 주민들의 휴대전화에서는 산사태 경보가 울렸으며, 해변 절벽 및 구항구 등의 지역에는 통행이 금지됐다.
지질 전문가들은 최대 강도 4.9까지 기록된 지진이 산토리니섬의 화산과 관련된 것은 아니라면서도 지진 활동이 화산 폭발을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지진은 10~20분마다 계속돼 주민들은 공포와 불안에 떨어야만 했다. 정부는 실내에 있지 말고 산사태가 발생하는 곳을 피하라고 경고해 일부는 노숙하거나 차에서 잠을 청해야 했다.
3일에는 산토리니섬을 떠나는 배를 타기 위한 행렬이 항구에 몰려들어 장사진을 이뤘다. 그리스 해안경비대에 따르면 전날 하루에만 1000명 이상이 배편으로 산토리니섬을 떠났고, 이날도 비슷한 숫자가 피난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산토리니에 도착한 한국인 관광객 김모씨는 AP에 “전날 밤 호텔에서 저녁을 먹는데 가벼운 진동을 10번 가까이 느꼈다”면서 “자정에는 큰 지진이 발생해 상황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매년 3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산토리니섬은 3500년 전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화산 폭발 가운데 하나로 형성됐다. 기원전 1620년에 발생한 폭발은 고대 미노스 문명의 쇠퇴를 낳았으며 가장 최근에는 1950년 분화가 일어났다.
그리스 지진방재기구 회장 에프티미오스 레카스는 “규모 5.5 정도의 지진 가능성이 있지만 규모 6 이상의 강진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02-0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