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日신문 ‘일본군, 위안소 관여’ 빼고 역사학자성명 보도

일부 日신문 ‘일본군, 위안소 관여’ 빼고 역사학자성명 보도

입력 2015-05-08 13:05
수정 2015-05-08 1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입맛대로 보도…아사히신문은 전문 싣고 상세히 다뤄

세계적으로 유명한 역사학자 187명이 역사문제를 직시하라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를 향해 발표한 성명에 대한 일본 언론의 보도 태도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성명의 의미와 맥락을 충실하게 보도한 신문이 있는가 하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극우 세력의 주장에 힘을 싣는 듯한 부분을 교묘하게 부각한 매체도 있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8일 일본과 일본 역사에 대해 깊은 생각을 지닌 학자들, 세계적으로 평가받는 친일(親日) 학자들이 성명에 이름을 올렸다고 소개하고 성명의 전문을 실었다.

이 신문은 관계자들이 성명 발표에 앞서 수차례 교정작업을 했고 여러 가지 면을 배려해 신중한 단어선택을 했다고 작성 경위를 전했다.

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 정부의 태도를 걱정하는 견해가 전부터 미국의 일본연구자나 역사가 사이에 있었다며 이번에 성명에 참여한 학자의 개별 의견을 따로 전했다.

성명을 정리하는 역할을 맡은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학 교수는 “사실(史實)을 부정하는 움직임이 있어도 우리는 교실에서 계속 가르치겠다는 메시지이기도 하다”고 의미를 밝혔다.

도쿄신문은 이번 성명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미국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언급을 피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사실을 직시하라고 요구했다”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성명이 ‘수많은 여성이 의사에 반해 구속되고 무서운 폭력을 겪었다는 것이 자료와 증언에서 명확해졌다’고 밝혔으며 특정 용어에 관해 좁은 법률적 논의를 반복하거나 증언에 반론하기 위해 한정적인 자료를 고집하는 것은 ‘잔인한 행위로부터 눈을 돌리고 비인도적 제도를 둘러싼 더 넓은 문맥을 무시하는 것’이라는 지적을 했다고 전했다.

반면 일부 신문은 성명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피해자가 몇 명인지 등의 논쟁을 벌이는 것이 여성에 대한 착취라는 본질을 바꿀 수 없다고 명언한 점 등을 제대로 소개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한국 측의 주장을 후퇴시킨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본에서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전후70년 ‘편견없는 청산을’”이라는 제목으로 간략하게 성명 발표 사실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그녀들에게 있었던 일을 부정하거나 아주 작은 일로 무시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다”는 성명의 주장을 전했다.

그러나 성명이 전후 70년에 의미를 부여했고 아베 총리가 미국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인권의 보편적 가치와 일본이 타국에 준 고통을 언급한 것을 칭찬했다고 하는 등 일본에 호의적인 내용을 부각하는 데 기사를 꽤 할애했다.

일본 주요 일간지 중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해 피해자의 시각과 가장 동떨어진 태도를 보여 온 산케이(産經)신문은 성명이 피해자 숫자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고 한 점을 염두에 두고서 ‘”20만 명 이상’ 명시 안해”라고 제목을 뽑았다.

이 신문은 “한국 측이 ‘20만 명 이상’ 등이라고 주장하는 위안부의 수에 관해 ‘아마 영원히 정확한 숫자를 확정할 수 없을 것’이라며 명시를 피했다”고 보도했다.

또 성명이 피해자의 증언이 마음에 와 닿으며 공적인 자료에 의해 뒷받침된다고 한 것에 관해 자료의 자세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거나 성명에 참여한 학자 일부는 경력으로 볼 때 일본 연구자라고 하기 어렵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요미우리와 산케이는 일본군이 위안부 피해자 이송, 위안소 관리에 관여했음을 증명하는 수많은 자료가 발굴됐다는 내용 등 일본 정부의 책임 문제를 명확히 언급한 부분을 8일 조간에서 다루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