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소녀상 갈등 숨고르기 하는 日

韓日 소녀상 갈등 숨고르기 하는 日

이석우 기자
입력 2017-01-11 23:08
수정 2017-01-12 02: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베도 상황 악화 원치 않아” 日 언론, ‘냉정한 대응’ 주장

멀찌감치 선 韓日
멀찌감치 선 韓日 아베 신조(앞줄 가운데) 일본 총리가 지난 10일 청융화(앞줄 왼쪽 두 번째) 주일 중국대사 등 일본어를 구사할 줄 아는 각국 주일 대사 22명을 총리 관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한 뒤 기념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준규 주일 대사가 최근의 냉랭한 한·일 관계를 반영하듯 뒷줄 왼쪽 끝에 서 있다.
도쿄 연합뉴스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와 관련, 주한대사 소환 및 통화스와프 협상 중단 등 강경 조치를 내놓았던 일본 정부가 일단 ‘확전’을 자제한 채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아베 신조 총리가 지난 10일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대사의 귀임 문제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한 것도 숨고르기 국면에 들어간 일본의 대응을 보여 준다. 11일 닛케이 등 일본 언론들은 “한·일은 서로 이해가 일치하는 정책까지도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 “양측은 감정에 치우치지 말고 냉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쿄의 외교가에서는 “아베 총리도 한국과 대치 상황이 더 악화돼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이미 강경 입장과 원칙을 밝혀 일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만큼 상황 관리에 들어가려 한다”고 분석했다.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행보를 멈추지 않는 북한, 해양 영유권을 강조하면서 남중국해는 물론 센카쿠열도 등 동중국해에서도 공격적인 행보를 확대하고 있는 중국 등 외교 여건상 더이상의 관계 악화는 일본에도 부담이다. 외무성을 중심으로 출구전략을 마련 중이란 이야기가 흘러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중국에 대한 강한 견제 정책을 준비 중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권 출범을 앞두고 일본이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을 뒤집어쓰고 싶은 않은 측면도 있다.

10일 NHK 여론조사 결과 일본 응답자의 50%가 대사 소환 등 부산 소녀상 문제와 관련한 아베 총리의 강경 대처에 대해 잘했다고 답했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7-01-1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