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 최고 실세였던 이마이 전 비서관을 고문으로
![이마이 다카야 일본 총리비서관(왼쪽)과 아베 신조 총리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02/SSI_20210302132540_O2.jpg)
![이마이 다카야 일본 총리비서관(왼쪽)과 아베 신조 총리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02/SSI_20210302132540.jpg)
이마이 다카야 일본 총리비서관(왼쪽)과 아베 신조 총리 [교도=연합뉴스 자료사진]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 “미쓰비시중공업이 이마이 다카야(63) 전 총리 비서관 겸 보좌관을 고문으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이마이 전 비서관은 경제산업성 출신으로 아베 정권 당시 총리관저에서 정책기획 등을 총괄했다. 지난해 9월 스가 요시히데 총리 취임 이후에는 비상근 자문역인 내각관방참여로 내려앉으면서 일선에서 물러났다.
이마이 전 비서관은 아베 전 총리 집권 동안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실권을 휘둘렀던 인물이다. 2006년 제1차 아베 정권 때 총리 비서관을 지낸 데 이어 2012년 제2차 아베 정권 출범때 5명의 총리비서관 중 가장 높은 정무비서관으로 복귀했다.
디테일(세부사항)에 약했던 아베 전 총리는 그에게 정치, 사회, 경제 등 내치는 물론 외교·안보에 이르기까지 실무에 관한 한 거의 전권을 일임하다시피했다. 특히 2019년 여름 대법원의 징용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으로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당시 외교정책 수장인 고노 다로 외무상과도 전혀 상의를 하지 않아 고노 외무상이 신문기사를 보고서야 해당 사실을 알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권에서는 그를 제정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를 사실상 지배했던 요승 라스푸틴에 비유하기도 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이 2018년 11월 대법원이 강제동원 피해자와 유족 5명이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패소했음에도 일체 판결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 대한 강경대응을 주도했던 인물을 자사 고문으로 영입함에 따라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