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주의 역사관 반영… 우경화 심화
교과서 절반은 위안부 강제 동원 안 다뤄임나일본부설 같은 맥락 사실인 양 기술
침략을 버젓이 ‘진출’로 표기하며 정당화
“日 역사 수준 후퇴한다는 위험한 징표”
전범 옹호한 교과서까지 검정 통과시켜
![30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고교 사회과 교과서에 독도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돼 있다. 도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233337_O2.jpg)
도쿄 연합뉴스
![30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고교 사회과 교과서에 독도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돼 있다. 도쿄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233337.jpg)
30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한 고교 사회과 교과서에 독도가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로 표기돼 있다.
도쿄 연합뉴스
도쿄 연합뉴스
30일 문부과학성 검정을 통과한 일본의 역사, 지리 등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들은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에 더해 2012년 아베 신조 정권 출범 이후 뚜렷해진 수정주의 역사관을 대거 반영하고 있다.
고대 일본이 200년 동안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고 왜곡한 임나일본부설과 같은 맥락의 주장을 마치 역사적 사실인 양 기술한 교과서를 비롯해 극우적 성향을 드러내는 교과서들이 무더기로 검정을 통과했다.
태평양전쟁 때 이뤄진 일본군 위안부 만행의 경우 인권침해 및 폭력성을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는 모호한 서술이 대폭 늘어났다.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기술한 교과서는 전체의 절반 이하였다.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가 30일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주장이 담긴 일본 고교 교과서 검정 발표 문제로 초치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 들어서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233409_O2.jpg)
연합뉴스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가 30일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주장이 담긴 일본 고교 교과서 검정 발표 문제로 초치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 들어서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233409.jpg)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가 30일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주장이 담긴 일본 고교 교과서 검정 발표 문제로 초치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 들어서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침략전쟁과 식민지 지배 과정에서 나타난 일본의 가해 행위를 희석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해자들의 행위를 정당화한 교과서들도 많았다. 특히 일본이 아시아 곳곳에서 일으킨 침략전쟁을 버젓이 ‘진출’이라고 표현했는데도 검정을 통과한 경우도 있었다. 시미즈서원의 역사 교과서는 만주사변, 중일전쟁 등을 다루면서 ‘일본의 대륙 진출’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일본이 아시아·태평양으로 전장을 넓힌 것을 다루는 대목에서는 침략을 정당화한 ‘대동아공영권’ 개념을 소개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23342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30/SSI_20210330233426.jpg)
심지어 전범들을 옹호한 교과서도 있었다. 메이세이샤의 역사 교과서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을 심판한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에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을 실었다. 이 교과서는 도쿄재판에서 A급 전범 전원의 무죄를 주장한 라다비노드 팔(1868∼1967) 판사의 의견을 자세히 다룬 뒤 “도쿄재판 자체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고 소개했다. 도쿄재판에 관한 이런 주장은 일본의 우익들이 줄곧 주장해 온 논리다.
일본의 우익단체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 구성원이 쓴 지유사의 중학교 교과서는 가공(架空)의 역사인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해 기술한 고대사를 교과서에 실었다. 임나일본부설은 4~6세기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직간접적으로 지배했다는 내용인데, 이는 일본이 을사늑약 이후의 한반도 식민지화를 정당화시키기 위해 날조한 이야기라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2021-03-3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