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도쿄올림픽 개막일인 23일 오전 일본 도쿄올림픽 취재진이 경기장으로 향하는 버스에 타승하고 있다. 도쿄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3/SSI_20210723145138_O2.jpg)
![2020 도쿄올림픽 개막일인 23일 오전 일본 도쿄올림픽 취재진이 경기장으로 향하는 버스에 타승하고 있다. 도쿄 뉴스1](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7/23/SSI_20210723145138.jpg)
2020 도쿄올림픽 개막일인 23일 오전 일본 도쿄올림픽 취재진이 경기장으로 향하는 버스에 타승하고 있다. 도쿄 뉴스1
23일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해외에서 온 선수 3명을 포함해 전날 19명의 대회 참가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대회 관계자의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집계한 이후 가장 많은 숫자다. 누적 확진자도 106명으로 증가했다.
올림픽 취재 현장을 보면 추가로 더 많은 감염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양궁 경기가 열린 유메노시마공원 양궁장에는 마치 시장 바닥을 방불케 하듯 수많은 취재진이 몰려들었다. 미디어센터가 몰려든 취재진을 다 수용하지 못해 거리두기가 무색했고, 마스크를 벗고 일하는 사람도 많이 목격됐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회 관계자는 별다른 통제 없이 무방비 상태로 행사가 진행되도록 했다.
문제는 양궁 뿐만 아니라 어디든 상황이 비슷하다는 점이다. 올림픽 메인프레스센터(MPC)에도 거리두기가 무색하고 수많은 사람이 모여 한 자리에 식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식당 뿐만 아니라 편의점, 기념품 가게, 흡연 장소 등 어디든 마찬가지다. 경기장을 오가는 버스를 타도 한국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만원 버스를 타는 것과 같다. 그야말로 집단 감염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조직위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해외에서 입국한 감염자의 국적·성별·나이 등을 공개하지 않는 ‘깜깜이 방역’으로 불안함을 더 키우고 있다. 올림픽이 바이러스의 슈퍼 확산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현실이 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