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참가자 1일 최다 19명 확진… ‘방역 올림픽’ 무색한 도쿄

올림픽 참가자 1일 최다 19명 확진… ‘방역 올림픽’ 무색한 도쿄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1-07-23 14:53
수정 2021-07-23 15: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0 도쿄올림픽 개막일인 23일 오전 일본 도쿄올림픽 취재진이 경기장으로 향하는 버스에 타승하고 있다. 도쿄 뉴스1
2020 도쿄올림픽 개막일인 23일 오전 일본 도쿄올림픽 취재진이 경기장으로 향하는 버스에 타승하고 있다. 도쿄 뉴스1
불안함 속 개막일을 맞은 도쿄올림픽에서 코로나19 확진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방역 올림픽’을 자신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방역 수칙이 온데간데 없어 불안한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23일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는 해외에서 온 선수 3명을 포함해 전날 19명의 대회 참가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대회 관계자의 코로나19 감염 상황을 집계한 이후 가장 많은 숫자다. 누적 확진자도 106명으로 증가했다.

올림픽 취재 현장을 보면 추가로 더 많은 감염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양궁 경기가 열린 유메노시마공원 양궁장에는 마치 시장 바닥을 방불케 하듯 수많은 취재진이 몰려들었다. 미디어센터가 몰려든 취재진을 다 수용하지 못해 거리두기가 무색했고, 마스크를 벗고 일하는 사람도 많이 목격됐다. 상황이 이런데도 대회 관계자는 별다른 통제 없이 무방비 상태로 행사가 진행되도록 했다.

문제는 양궁 뿐만 아니라 어디든 상황이 비슷하다는 점이다. 올림픽 메인프레스센터(MPC)에도 거리두기가 무색하고 수많은 사람이 모여 한 자리에 식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식당 뿐만 아니라 편의점, 기념품 가게, 흡연 장소 등 어디든 마찬가지다. 경기장을 오가는 버스를 타도 한국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만원 버스를 타는 것과 같다. 그야말로 집단 감염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조직위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해외에서 입국한 감염자의 국적·성별·나이 등을 공개하지 않는 ‘깜깜이 방역’으로 불안함을 더 키우고 있다. 올림픽이 바이러스의 슈퍼 확산지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현실이 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