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교보다 내면의 깊이 중점뒀죠”
흔히 조수미를 ‘벨칸토 소프라노’라 부른다. ‘아름다운 노래’라는 뜻의 벨칸토는 18세기 이탈리아에서 정착, 아름다운 소리와 부드러운 가락을 중시하는 기교 중심의 창법이다. 조수미는 이 분야를 대표하는 성악가로 꼽힌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3/28/SSI_20100328163349.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03/28/SSI_20100328163349.jpg)
얼마전 서울 무교동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난 그는 “열정이 넘쳤던 20대 초반 이탈리아로 유학가면서 독일 가곡보다는 소리를 뿜어내는 맛이 있는 벨칸토 오페라가 성향에 더 맞다고 생각했다.”면서 “당시에는 독일 가곡에 내재된 절제와 깊이를 제대로 표현하기에는 너무 어렸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앨범에서는 특히 슈만을 좋아해서 슈만 곡에 정성을 들였다.”며 “평소 즐겨 부르던 이탈리아 오페라 발성법에서 큰 차이를 두려 했다. 다만 절제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통상 피아노 반주로만 녹음되는 일반 가곡음반과 달리, 현악 앙상블이 반주를 맡은 점도 이채롭다. 바이올리니스트 김수연, 강주미, 더블베이시스트 성민제, 피아니스트 크리스토퍼 박, 기타리스트 이정민 등 최근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한국계 연주자들이 반주자로 참여했다. 조수미는 “실력 있는 현악 앙상블이 반주를 맡아 음악적 색깔이 더 풍성해졌음을 느낄 수 있다.”고 만족스러움을 나타냈다.
새 음반 발표를 기념해 새달 3일 마산, 7일 대전, 9일 경기 고양, 11일 인천에서 공연을 갖는다. 음반에 수록된 독일 가곡과 함께 오페라 ‘낙소스 섬의 아리아드네’ 가운데 고난도 아리아 ‘여기 계신 숙녀 여러분’ 등을 들려줄 예정이다. 8만~17만원. 02-398-8761∼5.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3-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