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 콜라주로 풀어낸 암 투병의 삶

한지 콜라주로 풀어낸 암 투병의 삶

입력 2011-05-14 00:00
수정 2011-05-14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키티 준 임, 한국 첫 개인전

이미지 확대
화가 키티 준 임
화가 키티 준 임
미안하지만, 화가 이름을 처음 듣곤 솔직히 좀 웃음이 났다. ‘키티’(Kitty)란다. 이름만 보곤 팝아트인가 싶었다. 헬로 키티 캐릭터도 떠올랐다. 영국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다니 더더욱 그렇지 않을까 싶었다. 그런데 정작 작품을 보니 추상 회화에 한지 콜라주다. 정통 미술과 한국적인 것을 잃고 싶지 않았다는 얘기니까 팝아트와는 한참 거리가 멀었다.

오는 18일부터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프라자 이형아트센터에서 한국 첫 개인전을 여는 화가 키티 준 임. 그는 “영국에서는 키티라 했으니 그냥 키티라고 하라.” 한다. 그런데 작품에 얽힌 이야기를 듣다 보니 숙연해진다.

그녀는 스무 살 차이 나는 사촌 오빠가 영국대사관에 근무한 덕에 어릴 적 영국으로 옮겨 가 살았다. 처음에 재미를 붙인 분야는 음악이었다. 재즈 밴드에서 드럼을 맡았다. 그가 결성한 10~15인조 브라스밴드는 영국 왕실 파티에 초대됐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그런데 덜컥 골수암 판정을 받았다. 큰 수술만도 9번이나 받았다.

수술대에 오르내리면서 근사한 음악가가 되리라는 꿈은 접었다. 그러나 내면에서 뿜어져 나오는 표현 욕구를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어릴 적 할아버지에게 배웠던 서예가 떠올랐다. 해서 영국 레딩대 미술학과에 가서 무조건 받아달라고 했다. 그림으로라도 풀어야겠다고.

이미지 확대
리플렉션 오브 어웨어니스
리플렉션 오브 어웨어니스
그렇게 미술 석·박사 과정까지 마친 게 1996년. 학위를 밟는 동안 뭘 그릴 것이냐는 질문을 끊임없이 받았다. 그때 그녀는 한국적인 피를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을 느꼈다. 지금의 한국적인 느낌이 물씬 나는 작품 형태가 틀을 잡았다.

하지만 위기는 한 차례 더 찾아왔다. 2004~2005년 연거푸 대수술을 받았는데, 상황은 절망적이었다. 의사들은 1년 정도를 얘기했다. 이러다 영영 못 일어나는 게 아닌가 하는 절망에 빠지기도 했다. 탈출구가 필요했다. 한지에 삶의 고뇌를 털어 놓기 시작했고, 이 한지를 찢어 캔버스에 붙였다. 오늘날의 작품 형태가 완성된 계기다.

힘든 과정을 작품으로 이겨내서 그런지 ‘지나치게’ 밝아 보인다는 말에 대답이 시원스럽다.

“왜 안 그렇겠어요?. 전 하루하루가 그냥 선물인 사람이에요. 하루하루, 그 모든 걸 즐기면서 밝게 살아야죠.” 단순한 한지 콜라주가 아니라, 삶에 대한 의지의 콜라주였던 셈이다. 24일까지. (02)736-4806.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5-1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