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내년 아수라상 등 재점검 학술용역
석굴암이 다시 문제다. 부실 복원, 제2 석굴암 등 해묵은 논란거리가 최근 다시 불거지자 문화재청이 공식 대응에 나섰다.
김창준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국장은 21일 “석굴암 복원 문제점과 제2 전시관 건립 타당성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는 종합 학술용역을 내년에 발주할 방침”이라면서 “공청회도 열어 각계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석굴암을 똑같이 본뜬 모형관(제2전시관)은 10년 전 건립을 추진하다가 주변환경 훼손 등의 우려로 중단했으나 최근 경주시와 석굴암 쪽에서 다시 요청해와 타당성 조사를 거쳐 재추진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국내 고고학 1세대로 꼽히는 창산(昌山) 김정기(81) 박사는 “석굴암 전실 입구 쪽 신장상(神將像) 2구가 원래는 본존불을 바라보면서 90도로 꺾여 있었지만 1961년에 복원하면서 전실에 목조건축물을 지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렬로 나란히 펼쳐 버렸다.”면서 “은사나 다름없는 황수영 박사가 석굴암 복원을 주도했기 때문에 (그동안) 잘못됐다는 말을 하기 어려웠다.”고 복원 문제점을 공개적으로 제기했다. 김 박사는 얼마 전 타계한 불교미술사학자 황수영 박사가 50년 전 주도한 석굴암 복원 작업에 참여한, 몇 안 되는 생존 인물이다.
조유전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은 “고건축학계의 최고 원로가 석굴암이 잘못 복원됐다고 직접 고백한 만큼 석굴암 바로잡기를 더는 늦출 수 없다.”고 ‘재복원’을 촉구했다.
그런가 하면 한정호 동국대박물관 특별연구원은 석굴암 전실에 불법을 수호하도록 배치된 천(天)·용(龍)·아수라(阿修羅) 등의 팔부신장(八部神將) 중에서 아수라상이 각기 다른 상반신과 하반신 조각을 이어 붙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 박사는 문제의 아수라상이 일제강점기에 실시된 1차 수리공사(1913~1915) 당시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분리된 채 발견됐다가 결합, 복원됐고 그 뒤 석굴암 복원공사 때 일부 손질을 가해 지금의 모습으로 잘못 복원됐다고 지적했다.
김창준 국장은 “김정기 박사가 제기한 신장상 배치 문제는 학계에서도 논란이 진행 중인 사안”이라면서 “다만 아수라상 문제는 거의 이견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해 최소한 아수라상은 바로잡을 뜻임을 시사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6-2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