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 전 한국에서만 잘하면 뭐하나, 세계 무대에 나가야 모두가 알아주지 하는 마음으로 뮤지컬 ‘명성황후’를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 무대에 올렸습니다. 이번에 ‘영웅’으로 확실하게 명품 인증샷을 찍을 겁니다.”
이미지 확대
윤호진 대표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윤호진 대표 연합뉴스
국내 첫 브로드웨이 진출작 ‘명성황후’ 이후 14년 만에 뉴욕을 다시 찾은 윤호진(63) 에이콤인터내셔널 대표는 뮤지컬 ‘영웅’ 첫날 공연을 끝낸 뒤 사뭇 상기돼 있었다.
“14회 공연인데 제작비만 250만 달러(약 28억원)가 들었습니다. 더 안타까운 것은 14년 전이나 지금이나 상황이 별반 나아지지 않았다는 겁니다. 한국의 콘텐츠를 세계에 알릴 좋은 기회인데도 간신히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1억원 지원받았습니다. 그것도 2년 동안 백방으로 뛰어서요. 결국 은행에서 12억원을 대출받았습니다. 그래도 괜찮아요. 한국의 질 좋은 뮤지컬을 세계에 알릴 수만 있다면 빚이 대수인가요.”
윤 대표는 ‘영웅’을 “토니상 언저리에 붙여 보겠다.”며 웃었다. 뉴욕 공연에 이어 일본과 중국 무대에도 진출할 작정이다.
이를 위해 이번 뉴욕 공연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부분은 무대장치. 그런데 그 무대장치 때문에 공연을 제 날짜에 올리지 못할 뻔했단다.
“무대의 하이라이트인 3.5m 실물 열차와 트럭 4대 분량의 소품을 배로 실어왔습니다. 그런데 소품에 워낙 총이 많다 보니 검역 과정에서 애 좀 먹었죠.”
9·11의 영향으로 테러에 민감한 뉴욕 시민들이 ‘저격’이라는 뮤지컬 내용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그는 “현지 언론과의 간담회에서도 그런 이야기가 나왔다.”면서 “안중근 의사를 테러리스트로 봤던 외국인들도 공연을 보고 나면 동양의 평화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한 인물로 기억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애당초 안 의사의 일대기를 다룰 생각이 전혀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2004년에 안중근기념사업회 문화국장이란 사람이 찾아왔어요. 안 의사 의거 100주기를 기념해 뮤지컬을 만들어 달라기에 단칼에 거절했죠. ‘명성황후’ 이후 진이 많이 빠져 남녀 간의 (말랑말랑한)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싶었거든요. 그런데 일주일 뒤에 그 젊은이가 다시 찾아와 ‘안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법정에서 15가지 이유를 댔는데 그중 첫 번째가 무엇인지 아느냐’고 하더군요. 바로 조선의 국모 명성황후를 일본이 시해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며칠 동안 그 말이 계속 맴돌았고, 결국 ‘영웅’이 탄생했습니다. 운명이었던 거죠.”
뉴욕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8-2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