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도라지꽃’ 연출 맡은 홍창수 고려대 교수
연극이 전통 판소리라는 옷을 입으면 어떨까. 독특한 형식의 공연이 궁금하다면 14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예술극장 무대에 오르는 연극 ‘도라지꽃’을 주목하자.![홍창수 고려대 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9/13/SSI_20110913185226.jpg)
![홍창수 고려대 교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9/13/SSI_20110913185226.jpg)
홍창수 고려대 교수
지난해 사회적 이슈로 부상했던 대형 슈퍼마켓(SSM) 문제를 해학과 비장의 전통 연희 정서를 살려 비판, 풍자했다. 동시대의 현실 문제를 판소리의 창과 아닌 음악적인 대사, 마임과 춤 등의 다양한 시청각적 요소들로 새롭게 창조해 주목된다.
주인공 나영창은 오랫동안 돈을 모아 작은 마트를 차린다. 하지만 이웃에 대형 슈퍼마켓이 들어서면서 집안은 풍비박산 난다. 이에 적개심을 품은 나영창은 비슷한 시기에 죽어 같은 영안실에 안치된 아버지와 대형 슈퍼마켓 주인 유씨의 시신을 바꿔치기한다. 하지만 결국은 서로 이해하고 용서한다.
연출을 맡은 홍창수(47) 고려대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는 “SSM 문제를 보면서 거대 자본이 중소 자본을 잠식하는 현장에 대해 고민했다. 상생을 추구하는 사람으로서 이와 같이 이익을 취하고 자본을 확대시키는 모습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느꼈다.”면서 “힘 있는 자와 가진 것이 없는 자 모두 상생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판소리를 연극에 접목시킨 이유에 대해선 “원래 판소리를 무척 좋아한다. 우리의 전통 판소리가 현대 관객들과 만나야 한다는 생각을 늘 갖고 있었다.”면서 “기존 창극은 주로 고전 소설이나 고전 설화를 소재로 삼아 관객과의 소통에 단절이 있었던 게 사실”이라고 꼬집었다.
그래서인지 ‘도라지꽃’은 연극인지 창극인지 판소리인지 경계가 애매하다. 홍 교수는 “굳이 형식을 나누자면 창극적인 마당극”이라고 말했다. 1544-1555.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9-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