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넷 아시아 2011’展
지난여름 폭우로 강남이 침수됐을 때, 그러니까 10억원대가 넘는 아파트들이 물에 잠기고 1억원이 넘는 외제차들이 강남대로에 둥둥 떠다니는 뉴스 속 장면을 봤을 때 무슨 생각이 떠올랐던가. 잔인하게 말하자면 “빈곤은 위계적이나, 스모그는 민주적이다.”라던 ‘위험사회론’의 울리히 베크였다. 무차별적인 거대 재난을 강조한 말이다.![이문주의 ‘유람선’](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9/16/SSI_20110916184732.jpg)
![이문주의 ‘유람선’](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9/16/SSI_20110916184732.jpg)
이문주의 ‘유람선’
![아직 명명되지 않은 그룹의 ‘혁명은 방영되지 않을 것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9/16/SSI_20110916184740.jpg)
![아직 명명되지 않은 그룹의 ‘혁명은 방영되지 않을 것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9/16/SSI_20110916184740.jpg)
아직 명명되지 않은 그룹의 ‘혁명은 방영되지 않을 것이다’.
11월 6일까지 서울 서소문동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현대미술 프로젝트 시티넷 아시아 2011’ 전은 이 문제를 다룬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해 ‘재난은 민주적이나, 복구는 위계적’이라고 언급하는 작품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전시에는 시립미술관 외에 일본 가나자와의 21세기현대미술박물관, 태국 방콕의 짐톰슨아트센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루앙그루파가 추천한 37명의 젊은 작가들이 참여했다. 짐작할 수 있듯 일본은 원전사태를, 태국은 지난해 반정부시위 문제를, 인도네시아는 지진과 쓰나미 피해를 주된 테마로 다룬다.
한국은? 원전 문제, 정치적 억압, 환경재난 등…. 이 모든 것들이 남 얘기가 아니다. 그래서 루돌프 줄리아니 미국 뉴욕시장 버전의 ‘범죄와의 전쟁’으로 널리 알려진 ‘깨진 유리창’ 이론을 비웃듯 패러디한 프레임 작품이 가장 눈에 띈다.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되는 것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오버 액션’ 하다가 오히려 가냘픈 촛불 하나에다 기름을 끼얹은 사건이 얼마나 많았던가. 그러나 암울한 이미지만 가득한 것은 아니다. “재난 뒤 상실뿐 아니라 얻게 되는 깨달음에 대해서 말하고 싶었다.”는 점에 대해 전시를 기획한 모든 큐레이터들이 동의했다. (02)2124-8800.
2011-09-1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