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리뷰] ‘궁리’

[연극리뷰] ‘궁리’

입력 2012-05-01 00:00
수정 2012-05-01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선 과학자’ 장영실 팩션 세련된 무대 완성도 더해

시간과 돈을 들여 괜찮은 연극 한 편 보고 싶다면 서울 용산구 서계동 국립극단 무대에 오른 연극 ‘궁리’를 추천한다. ‘궁리’는 연출가 이윤택이 10년 만에 발표한 신작 연극으로, 조선시대의 과학자 장영실과 임금 세종, 황희 정승 등 역사 속 친숙한 인물들의 관계와 속내를 팩션(팩트+픽션·사실을 바탕으로 한 픽션)으로 그려냈다.

이미지 확대
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의 역사적 실종을 다룬 연극 ‘궁리’의 한 장면.   국립극단 제공
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의 역사적 실종을 다룬 연극 ‘궁리’의 한 장면.

국립극단 제공


‘궁리’는 조선시대 과학자 장영실에 대한 마지막 기록, 조선왕조실록에 남은 한줄의 문장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세종 24년 ‘대호군 장영실이 안여(安輿: 임금이 타는 가마) 만드는 것을 감독하였는데 튼튼하지 못하여 부러지고 허물어졌으므로 의금부에 내려 국문(조선시대 중대한 죄인을 신문하던 일)하게 하였다.’(세종실록 1442년 3월 16일)는 기록이 바로 그것.

관노비에 고려 말 원나라 이주민의 자손인 장영실은 비천한 신분임에도 측우기, 자격루 등을 만들어 세종의 총애를 한몸에 받은 과학자로 유명하다. 자격루의 성공으로 세종으로부터 정4품 벼슬인 호군(護軍) 자리를 얻었을 정도다. 하지만 장영실은 ‘천한 신분으로 하늘을 연구하는 천문학을 연구하게 내버려 둘 수 없다.’는 관료들의 등쌀에 세종이 타는 가마의 제작을 맡았고 이 가마가 세종의 이동 중 부서져 버리면서 행복은 끝이 난다. 사헌부에서 수레 붕괴가 왕의 안위와 관련됐다고 주장하며 불경죄로 그를 파면함은 물론 목숨을 앗아갈 정도의 곤장 100대를 명했기 때문이다. 그를 그토록 예뻐했던 세종조차도 곤장 100대에서 80대로 태형을 줄여줬을 뿐 그의 목숨은 살리지 못했다.

그 이면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연극 ‘궁리’는 이렇게 비어있는 역사적 이면을 그리며 2시간 30분 내내 현대인과 조선시대 역사적 인물의 만남을 연결한다.

‘궁리’는 영화나 뮤지컬 한 편을 보고 나온 느낌을 준다. 소극장인데도 해시계를 콘셉트로 무대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데다 배우들의 움직임을 수레로 완벽하게 구현하고 화려한 조명과 의상, 군무 등으로 세련된 무대 구성을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오는 13일까지 서계동 국립극장 백성희장민호극장. 3만원. (02)3279-2233.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5-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