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눈에 비친 한국의 이사문화

외국인 눈에 비친 한국의 이사문화

입력 2012-07-12 00:00
수정 2012-07-12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리랑 TV ‘코리아투데이’

전화번호 ○○○-2424. 웬만하면 이삿짐센터로 연결된다. 도시 사람들은 결혼 후 내 집을 마련할 때까지 평균 5회 정도 이사를 한다는 통계가 있다. 온 집안의 물건을 한데 묶고, 침대·옷장·책상 등 가구를 옮기는 작업을 생각하면 결코 적지 않은 횟수다.

이미지 확대
우리에게는 익숙하지만 외국인의 눈에는 신기하기만 한 한국의 이사 문화를 조명해 본다. 아리랑TV 제공
우리에게는 익숙하지만 외국인의 눈에는 신기하기만 한 한국의 이사 문화를 조명해 본다.
아리랑TV 제공


예전에는 파란색 용달차에 가구와 집기를 싣고 천으로 먼지가 쌓이지 않게 덮어 이삿짐을 옮겼지만, 요즘은 ‘포장이사’가 정착돼 커다란 트럭 안에 차곡차곡 쌓아 이동한다.

우리에게는 익숙한 풍경인데, 외국인의 눈에는 어떻게 비칠까.

아리랑TV는 12일 오전 7시 ‘코리아 투데이’에서 외국인 눈에 비친 한국의 이사문화를 방송한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온 방송인 딜런은 시간이 나면 한국 곳곳을 찾아다닌다. 이사 성수기를 맞아 자주 접하게 된 한국 가정의 이사 모습을 포착한 딜런은 궁금증이 생겼다. ‘한국의 이사는 어떻게 신속하고 정확하면서 깔끔하기까지 할까?’

꽤 많은 살림살이를 가지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이사가 빈번하니 더불어 나날이 발전하는 것은 이삿짐센터 서비스이다. 인터넷으로도 예약할 수 있고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견적을 볼 수 있다. 딜런이 더 놀란 것은 이삿짐센터가 사용하는 사다리차이다. 짧게는 25m, 길게는 70m로 뻗는 사다리가 20층이 넘는 고층 아파트에 있는 집으로 거뜬히 짐을 실어 나른다.

포장은 또 어떤가. 집의 성격을 빨리 파악해 집 주인이 손 하나 까딱하지 않아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살림살이를 배치한다. 고가의 물품을 특수 포장해 주고, 미국 유명 청소기 전문업체의 청소기와 오존 살균기를 구입해 고객의 집을 깔끔하게 정리한다. 5시간 정도면 전 과정을 모두 마무리해 집 주인이 옛집에서 출근했다가 새집으로 퇴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송에서는 가히 놀랄 만한 이삿짐센터의 ‘능력’과, 이사 중에 짜장면을 즐기고 이사 후에는 이웃집과 떡을 나누며 인사하는 한국의 이사 문화를 조명한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07-1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